‘집 부족으로 긴급 대책 세우는 충남도’

2007년 주택건설 인·허가 누적 18만여 가구 감소…2∼3년 후 재고부족 예측

[아시아경제 최장준 기자] 충남도가 연말을 맞아 주택부족에 대비한 새해 청사진을 그리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충남 서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인구가 늘면서 집이 크게 부족할 것으로 점쳐지는 까닭이다. 충남도의 미분양주택은 지난해 말 1만5918가구에서 올 10월 말 현재 1만4206가구로 10.8% 줄었다. 더구나 인구가 해마다 평균 0.3% 느는데다 지난해와 올 사이 2만7700여명이 많아져 미분양가구는 곧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2007년 이후 지금까지 충남도의 주택건설 인·허가도 18만4507가구 줄었다.

미분양주택이 줄고 인·허가건수마저 떨어져 충남지역엔 집 부족현상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게 충남도 판단이다. 특히 인구가 자꾸 느는 서북부권의 집 부족은 ▲천안 9300가구 ▲아산 1만5900가구 ▲서산 1500가구 ▲당진 5800가구 등으로 추정되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미분양주택이 아직 남아 있으나 천안, 아산, 당진 등지를 중심으로 인구가 뚜렷이 늘면서 2∼3년 안에 집이 크게 부족할 것으로 보고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먼저 연간단위의 주택건설계획에서 벗어나 중장기주택공급을 위한 용역에 들어갔다. 충남도가 1년 단위를 벗어나 중장기용역을 벌이는 건 처음 있는 일이다. 충남도는 이를 통해 주택시장현황과 여건을 정확히 파악, 주택종합건설계획을 짤 예정이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아파트 등 주택을 짓도록 주문하고 있다. 특히 집짓기를 위한 행정력도 한 곳에 모아 건설업체들에게 업무처리기간을 줄여주거나 수익을 낼 수 있는 지역을 추천해 주는 등 ‘주택건설 붐’을 이끄는 분위기다.

충남도 관계자는 “서북부 중심으로 도시개발, 기업 입주가 계속되면서 인구도 늘어 집 부족현상이 우려되고 있다”면서 “새해 들어 건설경기가 살아날 것으로 보지만 주택건설기간을 고려할 때 주택부족은 가격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택시장안정을 위한 대책마련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최장준 기자 thispr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