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공장 소음·먼지에 뒷걸음질 치는 '남산르네상스'


"사람 살곳 못되니 차라리 이사가라"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그동안 남산은 우리 손에 의해 훼손되고 고립돼 왔다. 도시화로 훼손된 남산을 가꿔 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사람(휴식, 관광), 역사, 문화가 어우러진 서울의 명소로 만들겠다는 게 남산르네상스의 근본 목적이다.하지만 남산르네상스가 한창인 지금 이 시간 아이러니하게도 남산은 여전히 파괴되고 기계소음에 신음하고 있었다. 남산 자락은 공업단지화되고 있지만 소음과 분진, 악취에 대한 기준도, 더 이상의 파괴를 막겠다는 의지도 엿볼 수 없었다.

그러면서 남산 생태환경 복원의 주체인 사람은 떠나라고 한다. 인위적으로 숲길, 물길을 내고 경관에 방해되는 건물을 부수는 것만이 복원은 아니다. 더 이상의 훼손을 막는 것이 진정한 복원의 첫걸음이다.


쿵쿵쿵쿵..한낮에 찾은 서울 남산기슭 필동, 예장동 일대는 인쇄공장이 가득한 공단으로 변해있었다.동네는 온통 인쇄공장에서 새어 나오는 기계소음과 먼지, 기름냄새 범벅이다. 작업장의 지게차와 인쇄물을 실어 나르기에 분주한 소형트럭, 오토바이들이 골목을 메우고 있고 동네 꼬마들은 이 틈바구니에서 곡예하듯 뛰논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서울의 중심'이라는 구호는 공허한 메아리가 돼 버린지 이미 오래다. 서울시의 핵심 프로젝트인 남산르네상스를 비웃듯 남산 자락의 공장은 무서운 속도로 늘어가고 있었다.

관할 관청인 중구청 추산 필동, 예장동 일대 인쇄공장은 140여개 남짓. 남산 산책로로 오르는 주택가에 굉음을 내는 인쇄공장이 지금도 꾸준히 늘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도 단속 규정도 없다.

지금도 소형 인쇄공장 대부분은 충무로 일대에 자리잡고 있지만 개발바람이 불고 충무로 땅값이 오르자 공장들은 하나둘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대적으로 값이 싼 이곳에 둥지를 틀고 있다. 충무로에서 돈을 번 공장들이 확장과 재투자를 위해 필동과 예장동 골목으로 몰려들었다.

공장은 점점 대형화되며 지역주민들을 몰아내고 있었다. 대부분의 공장은 단독주택을 개조해 만들어지거나 헌집을 헐어낸 자리에 들어섰다.

1종일반주거지역에 지을 수 없는 공장은 근린시설로 허가를 맡아 신축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남산의 바위는 구멍이 나 쪼개져 내동댕이 쳐지고 24시간 돌아가는 기계소음에 이곳 주민들은 물론 남산의 불면의 밤은 계속되고 있었다.


지역주민에게 고발 당한 A인쇄업체는 500㎡이상을 초과할 수 없는 공장용도 기준을 어겨 3200㎡를 인쇄공장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중구청은 뒤늦게 실태파악에 나서고 있다지만 단속 근거가 없다며 계도 수준의 권고만을 되풀이하고 있다.

중구청 지역경제과 관계자는 "소형인쇄공장은 허가대상이 아니라 공장을 신축하더라도 근린시설로 건축허가를 받으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창문을 닫고 작업하거나 집진기를 설치하라고 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용도기준을 어긴 공장에 대해서는 벌금을 매길 예정이지만 원상복구를 요구하지는 않을 계획"이라고 답했다.

인근 어린이집 학부모들은 남산한옥마을 담장 밑에 근린시설로 허가받아 공장을 신축하려는 건축주와 2년째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 건축주는 지역주민들에게 통고문 형태의 내용증명을 보내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며 으름장을 놓고 있었고 주민들은 적반하장이라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이미 여러차례 민원을 제기했다는 지역주민 김경자(가명)씨는 "공무원으로부터 사람 살곳이 못되니 차라리 이사가라는 말만 들었다"며 "남산르네상스를 한다지만 정작 남산에 가장 가까이 사는 우리들이 공장에 쫓겨나야 하는 상황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asiakm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