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국감]한전 중심 해외사업 전담사 필요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발전 분할 이후 중복 운영되는 한국전력과 각 발전자회사의 해외사업조직과 인력을 통합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제기됐다.

12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이명규 의원(한나라당)은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발전회사별로 해외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정보공유 미흡, 해외사업수행 능력 부족 등으로 시행착오를 겪고 있으며 해외사업의 경쟁력이 낮은 실정"이라며 "한전과 발전자회사간의 시너지창출을 위해 한전의 해외사업 총괄 및 조정기능을 강화하고 해외사업 전담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발전분할 이후 한전과 각 발전회사는 별도의 해외사업 조직과 인력을 보유하면서 각사별로 해외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전은 해외사업본부 산하 3개처, 1개 직속팀 288명, 6개 발전사는 10개팀 137명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이 의원은 이 같은 중복운영은 ▲발전회사간 기능중복 및 과다 경쟁으로 인한 수익구조 저하 및 대외적 이미지 하락 ▲발전회사별 해외투자사업 시행시 통합적 조정 관리 곤란 ▲한전(영문사명 KEPCO)의 브랜드 파워와 발전회사 등 전력그룹사의 전문기술ㆍ인력 분산으로 인한 해외사업의 경쟁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이 문제점으로 든 사례는 지난해 4월 몽골 제5발전소 건설사업에 동서와 중부발전이 각자 입찰에 참여했으나 중재 끝에 양사 모두 입찰 취소를 결정한 것. 또한 2005년과 2006년에는 한전 주도로 호주 뉴팩광산 인수시 인수가격, 물량50만t 확보, 판매수수료 등을 조기 합의했으나 발전회사가 물량인수조건을 매년 협상하자고 고집해 장기간 협상이 지연되다 국제 석탄시세 급등으로 사업개발이 실패로 돌아갔다. 이 의원은 "2005년 이후 한전 주도하에 발전회사들과 공동으로 해외전력시장 및 자원개발에 나서고 있으나, 발전회사들의 소극적 협조 또는 공동 진출 기피현상이 잔존해 있어 해외사업 수주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특히 "한전은 자체 발전인력이 없어 대규모 발전사업 진출에 제약을 받고 있으며 발전회사는 브랜드 파워 미약, 해외사업 경험과 능력 부족으로 독자적인 해외사업 추진에 한계를 겪고 있다" 고도 했다.

이 의원이 제안한 조정방안은 한전 독자개발사업은 한전이 사업총괄을 주도하고 발전사가 지원하는 방향으로 개편돼야 하며 한전 발전사의 공동개발사업은 해외사업협의회에서 지분, 역할을 조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발전사의 독자개발사업도 한전과 협의후에 경제성이 있을 경우에만 추진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