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천국' 싱가포르, 규제 동참

면제옵션 혜택이 뜨거운 감자, 글로벌 금융규제 발맞춰 자발적 규제 시도

싱가포르가 헤지펀드 규제 강화에 나서 주목된다.

17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싱가포르중앙은행(MAS)이 최근 헤지펀드 대표들을 만나 헤지펀드를 중심으로 급성장하는 대체투자 산업에 관한 규제 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헤지펀드의 천국'을 표방했던 싱가포르 정부의 행보와 엇갈리는 것이어서 주목된다.MAS 주도로 진행된 이번 비공식 회의에서 헤지펀드 대표들은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 논의되고 있는 금융규제 방안에 발맞춰 싱가포르 역시 규제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지만 가장 뜨거운 감자는 면제옵션(exempt option)에 관한 것이었다. 면제옵션은 싱가포르 정부가 헤지펀드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30명 이하의 투자자를 보유한 소규모 헤지펀드에 대해 홍콩의 절반, 런던의 3분의1 수준의 비용으로 투자자금을 운용할 수 있게 해주는 혜택이다.

싱가포르는 그동안 면제옵션 혜택에 힘입어 홍콩과 런던의 헤지펀드들을 자국으로 유치할 수 있었고, 이는 곧 싱가포르 헤지펀드 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중앙은행에 따르면 싱가포르 헤지펀드 시장 규모는 350여개사, 금액 기준으로 42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회의에 참가한 한 헤지펀드 매니저는 “유럽과 미국 등이 금융규제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싱가포르만 모른 채 하기는 힘들다”며 “규제가 너무 없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면제옵션 축소에 대해 찬성입장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싱가포르 정부가 몇 년 전만 해도 면제옵션에 대해 최소한의 규제를 하는 것이 더 옳다고 생각했다”며 “금융위기를 겪은 후 생각이 달라졌을 것”으로 분석했다. MAS는 회의 결과에 대해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다만 새로 나올 헤지펀드 규제안에는 자산규모와 헤지펀드 매니저 자격, 운용 자본금 및 수수료, 법률면책 조항 재정비 등의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헤지펀드 대표는 “보통 이러한 규제가 생길 때는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 대부분 반대하기 바쁘지만 이번 규제조치는 감내할 만 하다”고 말했다. 반면 다른 한 사람은 “어떤 결정을 내리든 헤지펀드 산업에는 이로울 게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양재필 기자 ryanfeel@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