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대상]<대상 개인>삼성생명 조만호 부산 FP센터 팀장

FP센터 산파...최고의 컨설팅 능력


개인부문 대상을 수상한 조만호 삼성생명 FP센터 부산센터 팀장을 일컫는 수식어는 그야말로 화려하다. 금융업계 최고 수준의 재무컨설팅 능력을 자랑하는 삼성생명 FP 중에서도 단연 돋보인다. 조 팀장이 FP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2001년부터다. 그 당시는 VIP를 대상으로 한 재무컨설팅이 불모지나 다름없는 시기였다.

당시 VIP 고객 및 고액자산관리 테스크포스에 참여하고, 삼성생명 FP센터의 개소와 초기 재무설계체계를 구축하면서 첫 발을 내딛었다.

물론 이같은 능력의 기반에는 삼성생명 입사 이후 대구 및 영남지역의 지점 관리자를 거치면서 쌓은 오랜 경험과 축적된 노하우가 든든한 밑거름으로 작용했다.조 팀장이 주춧돌을 쌓은 삼성생명 FP센터는 VVIP 고객을 대상으로 투자, 세무, 부동산, 상속ㆍ증여, 위험관리 등 종합적인 재무설계서비스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공하는 종합자산관리 전문가그룹이다.

지난 2002년 10월 강남 FP센터를 개소한 이후 수원, 인천, 대전, 광주, 부산 등 총 9곳으로 늘었고, FP(Financial Planner) 및 PM(Planning Manager)을 보더라도 140여명으로 금융업계 최대 규모로 도약했다.

재무설계체계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보험업계의 특징이자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프플랜을 바탕으로 차별화한 이 체계는, 고객의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초기단계인 소득관리부터, 은퇴 및 상속에 이르기까지 자산을 운용할 때 유념해야 할 각종 정보를 단계별로 제공한다.

이처럼 테스크포스에서 FP센터의 밑그림을 그린 조 팀장은 개소와 함께 강남센터 팀장을 맡았다. 이후 VIP자산운용의 꽃이자 모든 금융기관의 각축장이라고 할 수 있는 강남지역에서 고객성향 및 시장흐름을 읽어냄과 동시에 세일즈가 아닌 컨설팅으로 고객에게 다가섰다.

회사 내부적으로는 "센터 설립 초기에는 재무설계 노하우 축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아래 노하우 공유 및 업데이트에 주력했다.

소모적인 회의는 가급적 지양했다. 이 때 쌓인 재무설계 노하우는 현재 삼성생명 FP센터의 고유 브랜드라고 할 수 있는 GAP & TAP 서비스의 씨앗이 되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이다.

GAP & TAP 서비스는 은행이나 증권사의 PB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재무설계 서비스. GAP(Growth of Asset Planning)은 자신증식 플래닝을, TAP(Transfer of Asset Planning)은 자산승계 플래닝을 의미한다.

은행과 증권은 고객 여유자금으로 다양한 펀드상품에 투자하는 전략을 제안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고객의 재무현황과 니즈를 분석해 자산증식 및 승계 플래닝을 종합적으로 검토, 고객에게 가장 유용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직업군도 CEO 및 임원, 의사, 자영업자, 부동산 오너, 은퇴자 등으로 세분화해 고유한 니즈를 발굴하고 최적의 해결방안을 도출해낸다.

강남센터가 안정화된 2004년에는 부산-대구 팀장을 맡았다. 당시 부산-대구지역은 재무설계서비스가 확산되지 않은 상태일때 VIP 재무설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확산을 통해 지역 FP를 활성화하는데도 일조했다.

이같은 성과로 인해 조 팀장은 삼성생명 FP센터 내에서 최고 수준의 수상 횟수를 기록하고 있다. 무려 최우수 FP 팀장만 10회나 수상했다.

이 상은 FP를 대상으로 분기 또는 반기별로 세미나 횟수, 재무컨설팅 건수, 실제 성과를 창출하는 비율 등을 합적으로 고려해 선정된다.

1000건이 넘는 상담건수, 140회의 강의건수, 50회의 세미나 건수 등 각종 수치를 보면 10회 수상도 무리가 아니다. 지금까지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한 초부유층 고객이 총 1200여명, 보유고객의 자산이 7000억원을 넘고 있다.

아울러 VIP 뿐만 아니라 대중적인 재무설계서비스의 전파에도 관심이 많아 세미나 및 강의는 물론 다수 언론매체에 재테크 칼럼을 기고하는 등 대외 활동에도 열정적이다.

게다가 이같은 노력과 본인의 노하우를 후배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전수해 귀감이 되고 있다는 평이다.

김양규 기자 kyk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