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국가대표급 스키점프할 수 있는 이유

영화 ‘국가대표’ 점프 장면에 ‘슈퍼컴퓨터’ 적용

한국 스키점프선수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국가대표’가 개봉 2주 만에 관객 수 200만 명을 넘어서며 흥행돌풍을 잇고 있다. 대중적으로 낯선 소재임에도 도전과 감동,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수백만 관객들을 극장으로 불러들이고 있다.

영화의 백미는 배우들의 화려한 스키점프 장면이다. 시속 100km에 가까운 속도로 점프대를 활강하는 선수의 생생한 얼굴과 창공에서 바라보는 순백의 설경, 환호하는 관중들의 뜨거운 열기 등 실제와 같은 경기장면이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는다. 10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따르면 출연배우 하정우 등 스키점프를 해보지 않았으면서도 이처럼 화려한 점프장면을 연출할 수 있었던 배경엔 ‘수퍼컴퓨터’가 있었다.


독일서 열린 ‘오버스트도르프 스키점프 월드컵대회’를 촬영한 뒤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컴퓨터그래픽(CG)기술을 접목, 배우얼굴과 계절을 조정한 것.

영화의 특수효과는 영화특수효과 전문회사 ‘EON’이 맡았다. 이 회사는 대전 대덕특구 KISTI가 자체 설계·구축·운영 중인 세계 5위급의 ‘그래픽스 전용 슈퍼컴퓨터(별칭 : 피카소)’에 ‘랜더링 소프트웨어’를 적용, ‘국가대표’의 CG를 처리했다. 우리나라에서 컴퓨터그래픽스를 영상분야에 적용한 역사는 상대적으로 짧고 관련 산업도 영세한 상황이란 게 KISTI의 설명이다.

그러나 특수효과분야에서 컴퓨터그래픽스의 영향력은 더 커지고 있다.

2007년 개봉돼 세계적으로 4억6000만 달러를 벌어들인 영화 ‘300’에선 영화전체에 80%이상에서 특수효과가 적용됐다.

제작비 112억원을 들여 2006년 개봉한 영화 우리 ‘괴물’은 CG비용만 50억원(44.6%)이 들어갔고 심형래 감독의 ‘디워’도 제작비 300억 원의 33%인 100억원이 특수효과에 쓰였다.

박영서 KISTI 원장은 “영화 국가대표는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KISTI의 슈퍼컴퓨터가 만나 선진국 못잖은 특수효과들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며 “KISTI는 관련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슈퍼컴퓨터 지원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