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구의 반격' 금호그룹 구조조정은

"달라진 것은 없다" 대우건설 매각 등 예정대로 진행

금호아시아나그룹 오너 일가의 법적 분쟁이 고조되고 있지만, 현재 추진중인 구조조정 작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4일 "주채권은행과 금호그룹이 체결한 재무구조개선약정은 은행업 감독규정에 근거해 체결한 것으로 법적 효력이 있다"며 "불이행시 가장 강력한 수단인 주채권은행의 여신 회수 등 제재가 따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금융권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해 향후 금호그룹 오너형제간 법적 공방과 관련 없이 대우건설 매각 등 구조조정의 핵심 업무는 예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우건설 매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금호그룹 유동성 위기의 진원지인 '풋백옵션' 문제는 물론 올해 만기도래하는 회사채 상환 등 그룹의 유동성 문제를 풀 수 있는 해법이 없기 때문이다.

금호그룹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고위관계자도 "그룹 입장에서 대우건설을 매각해야 현 상황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배구조 불확실성이 현재 추진중인 구조조정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대우건설 매각은 실사가 마무리되는대로 인수자 선정 작업 등 후속절차가 진행된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박찬법 신임 그룹회장이 시장 우려에 대한 돌파구 마련 차원에서 빠른 의사결정으로 구조조정 작업을 지휘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한때 유찰 가능성이 제기됐던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지분 매각 작업이 사모펀드 코아에프지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면서 속도를 내고 있다. 금호생명도 칸서스자산운용과의 매각 협상이 막바지에 접어들었고,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하고 있는 아시아나IDT 지분도 미국 기업인수목적 특수회사인 TGY에 매각했다.다만 박찬구 전 회장이 박세창 상무(박삼구 명예회장의 장남)와 계열사간 지분거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것은 변수로 남는다. 박 전 회장이 향후 이같은 방식의 계열간 거래에 대한 문제를 지속 제기할 경우, 현재의 유동성 위기를 모면하더라도 중장기적인 그룹 구조조정 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오너 일가의 다툼이 지속될 경우 불확실성을 키우며, 그룹의 신용도와 평판리스크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