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최대 물가상승 품목은 '생강'

생강, 양배추, 귤, 파, 명태 등 농수축산물을 중심으로 한 식료품 가격이 1년 전에 비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지수 산정에 쓰이는 489개 상품 및 서비스 품목 가운데 생강이 6월에 전년 동월대비 107.2% 오르며 가장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이어 양배추(81.9%), 귤(56.9%), 파(52.7%), 명태(41.3%), 북어채(40.4%), 선풍기(40.1%), 배추(37.3%), 우유(34.9%), 닭고기(33.1%) 등의 순으로 물가 상승률 10위권 내에 포함됐다.

또 땅콩(31.6%), 바나나(30.4%), 굴(29.7%), 금반지(29.3%), 양상추(28.3%), 부추(27.4%), 열무(27.3%), 애완동물사료(27.1%), 실내화(25.5%), 스케치북(25.5%) 등도 비교적 높은 수준의 가격 상승폭을 기록했다.

반면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관련 품목의 가격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6월에 등유가 전년 동월대비 35.8% 떨어지면서 하락 폭이 가장 컸고, 자동차용 LPG(-26.4%), 경유(-25%), 취사용 LPG(-20.7%) 등의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밀가루(-17%), 휘발유(-14.4%), 국제항공료(-12.4%), 감자(-11%), 참외(-10.8%), 찹쌀(-10.2%), 골프장이용료(-10%), 국수(-9.6%), 해외단체여행비(-9.3%), 금융수수료(-7.6%), 호텔숙박료(-7.2%), 자동차의무보험료(-6.9%) 등 또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재정부 관계자는 "봄 가뭄과 환율상승, 재배면적 감소 등 공급 측 요인으로 인해 농수축산물의 가격이 예년에 비해 크게 올랐다"면서 "그러나 최근엔 이런 요인들이 해소되면서 가격이 점차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품목성질별 지수를 보면, 농수축산물의 경우 6월에 작년 같은 달보다 6.6% 올랐으나, 전월비론 4.8% 하락하며 지난 2005년 11월(-5.7%)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생선류, 채소류, 과실류 등을 대상으로 하는 신선식품지수 또한 전년 동월대비 10.6%, 전년 동기(1~6월)대비 8.8% 올랐지만, 전월에 비해선 9.1%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재정부 관계자는 "7월 소비자물가는 국제 원유가격 강세와 가스요금 인상 등의 영향이 어느 정도 예상되나 환율안정과 경기하강 요인, 기저효과 등이 반영돼 전년 동월대비 상승률이 6월의 2.0%보다는 낮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