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전원이냐 의과대학이냐, 올해 말 최종결정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과 의과대학으로 이원화돼 있는 의학교육시스템을 개편하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 되면서 의과대학 체제가 대학과 의료계의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7일 의전원 체제 개편 논의를 위한 자문기구인 `의학교육제도개선위원회'를 이달 중 발족시키기로 하고 현재 학계, 의료계 등 관련 단체를 통해 위원 명단을 추천받고 있다고 밝혔다.

교과부가 2002년과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수립한 의전원 도입 기본계획에 따르면 2005~2009년 5년간 의전원 체제를 도입해 운영해 본 뒤 2010년 이후 의전원 체제 완전 전환 여부에 대한 최종 정책 방향을 결정키로 돼 있다.

이에 따라 교과부는 의학계와 비의학계 인사를 각각절반으로 해 의학교육제도 개선위원회를 구성하고 제도 개선 논의에 착수, 올 연말께 최종 입장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예과 2년, 본과 4년의 폐쇄적인 `2+4학제'의 의사 양성 체제에서 벗어나 의사 문호를 다양한 학부를 전공한 학생들에게 개방한다는 취지로 의전원 제도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2005년 가천의대와 건국대, 경희대, 충북대 등 4개 대학이 의전원으로 바꾼 것을 시작으로 전국 41개 의대 가운데 27곳이 의전원으로 전환한 상태다.

그러나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등 이른바 주요 의대는 의전원으로 완전히 전환하지 않고 의대와 의전원 정원을 절반씩 유지하며 병행 운영하고 있어 의전원 전환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들 대학은 의전원 제도가 국내 실정에 맞지 않고 교육 내용은 별 차이가 없는데도 의대 출신은 학사, 의전원 출신은 석사 학위를 받는 것이 형평성에 맞지 않다며 의전원 전환에 소극적이었다.

또 교육기간이 의예과 2년, 본과 4년 등 6년(2+4)에서 학부 4년, 의전원 4년 등 8년(4+4)으로 늘어나 수련ㆍ전공의의 연령대가 너무 높아지고 의전원 입시 경쟁으로학부 과정이 파행을 겪는다는 것도 소극적인 이유다.

의전원과 의과대학이 병행되자 사실상 똑같은 수업을 받으면서도 의전원생들이 의대생들에 비해 배 가까이 높은 등록금을 내는 기형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교과부는 이러한 혼란을 정리하기 위해서라도 의학제도개선위원회를 통해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논의한 뒤 내년 중 의전원 완전 전환이냐, 아니면 과거 의대로의 복귀냐를 놓고 정부의 최종 입장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