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폐지 기업들, 대규모 자금 조달 빈번

최근 상장폐지 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공통점이 대규모 자금을 빈번하게 조달하는데 있었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장폐지사유 발생기업의 최근 2년간 자금조달 건수가 코스닥시장 전체 대비 무려 19.5%(금액기준 12.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달된 자금이 시설자금 등 생산적인 용도로 사용되지 않고 타법인주식 취득이나 대여에 사용하는 등 대규모 자금조달 후 운전자금을 스스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었다.

영업실적이 저조함에도 조달된 자금을 영업과 무관한 타법인주식 취득 및 자금대여등에 사용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자산총액의 50%를 초과하는 기업이 27%(15개사)에 달한다.

일부기업은 조달된 자금이 횡령·배임되거나 횡령·배임으로 인한 자금 공백을 충당하기도 했다.

상장폐지사유 발생기업중 55%(35개사)가 최근 2년간 횡령·배임혐의 발생 공시를 했으며 이 중 횡령·배임혐의 금액이 자산총액 이상인 기업이 22%(14개사)로 나타났다.

횡령·배임혐의 발생기업의 경우 2007년부터 시작된 신용경색에 따른 경제위기보다는 취약한 내부통제시스템 등이 퇴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을 것으로 금감원은 분석했다.

또, 상장폐지사유 발생기업중 69%(44개사)는 최근 1년 동안 최대주주가 1회 이상, 30%(19개사)는 2회이상 변경됐다. 이런 상황에서는 책임있는 경영진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사업수행이 어려운 것은 당연한 일.

이외에도 상장폐지사유 발생기업 중 81%(52개사)가 미공개 정보이용 등 불공정거래혐의에 연루된 경우도 밝혀졌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를 공시심사, 불공정거래조사 및 회계감리등 업무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며 "분석대상기업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기업의 공시심사시 조사·감리 부서와의 연계 심사를 더욱 강화해 투자자보호 등을 위한 공시규율이 정착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경민 기자 kk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