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인력 30만명 축소..건설생산기반 붕괴 우려"

"건설 분야의 기능 인력이 2년새 30만명이나 줄었고 숙련인력들이 고갈돼 건설생산기반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

심규범 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이같이 기능 인력 축소가 향후 건설생산기반의 붕괴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능 인력이란 건설업계 종사자 중 기술관리 및 사무직과는 대조적인 개념으로 육체노동자를 뜻한다.

현재 사무직은 50만~60만명, 기능인력은 130만명 수준. 최근 2년 동안 기능 인력이 20만~30만명이 줄어든 대신 사무직은 10만명이 늘어났다.

건설 육체노동자는 흔히 '노가다꾼', '일용잡부'로 이미지화 돼 있지만 심 박사는 그런 인식을 비판했다.

심 박사는 "적어도 평균 5년 정도 일을 배워야 무리 없이 일을 할 수 있는 숙련노동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아파트나 도로 공급은 자동차 생산과 같이 완전 자동화가 불가능해 표준화, 기계화 하는 데 한계가 있어 사람이 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 크다"며 숙련 기능 인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심 박사는 기능 인력이 점점 줄고 있는 데는 '건설 인력의 고령화'와 연관이 많다고 주장했다.

심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40대 이상 취업자가 전체 취업자의 57%였다. 그러나 건설 기능 인력만 놓고 봤을 때는 40대 이상 비율이 72%로 나타났다. 건설 인력의 고령화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얘기다.

전문 기능 인력을 양성시키는 실업계 공업고등학교의 학생들이 대부분 대학을 가고 있는 것도 건설 인력의 고령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다.

심 박사는 "마이스터고 등 전문기술학교에 관심을 갖는 것, 기술 및 기능 인력들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적정한 대우가 있어야 건설 인력의 고령화를 극복하고 청년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며 해결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한편 심 박사는 최근 발표한 '이율배반의 정책..10% 예산 절감과 일자리 창출 투자'라는 논문에서 정부의 '예산 10% 절감'이란 기조가 건설업계에서는 노무비 삭감에서 일자리 감소로 이어져 문제가 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심 박사는 "건설업체는 업체 유지·유동 자금 확보·시공실적확보 등을 위해 낮은 입찰가를 제시해서라도 수주하려하는데, 이때 노무비를 삭감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