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노사 상설협의체로 일자리 괴리 해결"

오늘 세계석학포럼, 기 소르망 '대학경쟁력 결정요소' 발표

프랑스의 세계적 석학인 기 소르망 파리정치대학 교수는 "대학 졸업생의 기대 수준과 현실적 일자리의 괴리에서 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노동계, 학생, 기업대표로 구성된 상설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소르망 교수는 19일 오후 한국교육개발원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주최로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2009세계석학포럼'에 앞서 배포한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에 있어 대학경쟁력의 결정요소'란 주제발표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소르망은 "대학 졸업생은 고위공무원이나 대기업 취업 등을 기대하고 있지만 이를 수용할 일자리는 극히 제한적"이라며 "상설협의체를 통해 교수나 학생의 기대 수준이나 현실 감각이 변화하고 지역 현실과 현안도 반영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소르망 교수는 또 한국 대학의 글로벌화에 대한 제안도 내놓았다.

그는 "한국 대학 내의 비한국인 교수는 90% 이상이 미국 출신이며 외국인 학생도 80%가 중국계"라며 "비한국인 교수나 외국인 학생의 비율 증대와 국적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르망 교수 외에도 데이비드 로젤 미국 델라웨어대 전 총장은 '글로벌 시대의 국가발전과 대학의 역할'이란 제목의 기조연설에서 "미국 대학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면 대학 경쟁력 강화의 책임은 대학만의 것이 아니다"며 "이는 중앙정부, 지방정부, 전문학술단체, 비영리 민간단체 등이 다 같이 협력하여야 해결 가능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조지 스무트 미국 UC버클리대 교수, 서남표 KAIST 총장, 백성기 포항공대 총장, 손병두 서강대 총장, 박철 한국외대 총장,이배용 이화여대 총장, 서정돈 성균관대 총장, 김영길 한동대 총장 등이 참석한다.

이들은 ▲ 대학운영에 경쟁체제 도입 ▲자율과 책임의 대학관리체제 구축 ▲외국 교수, 학생을 확충하는 등 교육방식과 내용의 글로벌화 ▲사회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신축적인 운영체제 도입 등이 필요하다는 주제발표와 토론을 할 예정이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