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잡 셰어링 사례 발표

행정안전부는 임금 삭감 등을 통해 일자리를 나누는 자발적인 '잡 셰어링(Job Sharing)'이 지자체 및 지방공기업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잡 셰어링'은 직원의 임금반납형, 성과상여금이나 복리후생비 반납형, 예산절감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됐다.

직원의 임금을 삭감하여 잡 셰어링에 나선 지자체는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가 대표적이다.

인천광역시는 5급 이상 직원 550명의 임금 1∼5%를 자진 반납받아 매월 약 3천500만원의 비용을 청년인턴 채용사업에 활용하기로 했고, 6급 이하 직원은 자율적으로 동참키로 했다.

서울시는 직원들의 봉급 일부 기부와 업무추진비, 경상경비 등 절감액으로 100억원 규모의 재원을 조성해 청년 일자리 1000여 개를 창출하기로 했다.

성과상여금을 반납한 지자체로는 경남 양산시, 전남 완도군과 충남 보령군이 있고, 대전시 유성구는 복리후생기금을 삭감하여 2억1000여만원을 기증했다.

경남 마산시는 연가보상비 8억 원을 기부해 1004개의 일자리를 창출, '아름다운 천사(1004)기부'로 명명하기도 했다.

광주광역시 지방투자기관인 '한국광기술원'은 성과상여금 6000만원을 반납해 청년인턴 6명을 채용하기로 하고 지난달 말 채용공고를 하고 이달 초에 면접을 거쳐 5명을 채용해(1명을 추가모집 중) 10일부터 근무에 들어갔다.

경상경비 등 예산절감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 사례로는 경북 울진군 의회에서 해외연수비 및 경상경비 삭감한 것이 꼽혔다.

제주특별도 개발공사 및 제주관광공사는 경상경비절감 및 성과급축소로 25명의 청년인턴을 채용했다.

이외에도 경남 마산시는 27일 경제위기극복을 위한 '일자리 창출 이벤트'를 개최할 예정이며, 참여업체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지원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석규 행안부 지역발전정책국장은 “지자체와 공기업 부문에서 자발적으로 전개되는 일자리 나누기가 민간부문의 활발한 동참을 유도하도록 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며, 민간의 적극적 동참을 호소했다.

한편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일자리 나누기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임금을 삭감하여 일자리를 나누는 기업에 대해서는 임금삭감액의 50%를 손비처리 하는 등 법인세 감면혜택과 R&D, 컨설팅 등 지원사업 우대, 고용유지지원금 확대, 실업급여 및 퇴직금 산정의 특례를 도입하는 등 기업에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조치했다.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