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외환銀 등 9곳, 금감원 BIS 권고치 12% 미달

국내 9개 은행이 지난해 말 금융감독당국이 제시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권고치 12%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자본비율(Tier1) 9%에 미달한 은행은 11개로 자본확충수요는 9조원에 달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18개 국내 은행의 BIS 비율은 12.19%로 지난해 9월말 대비 1.33%포인트 올라갔다. 이는 지난해 4분기 대출증가세 둔화 및 환율 안정으로 인해 위험가중자산이 7조원 감소한 반면, 은행이 후순위채 발행·증자 등 약 15조원 규모의 자기자본 확충을 진행한 데 따른 것이다.

국내 은행은 BIS 비율이 지난 2007년말 12.31%에서 지난해 9월말에는 10.86%까지 추락했었다. Tier1은 2007년말 8.97%에서 지난해 9월말 8.33%까지 떨어졌다가 지난해 말 8.79%로 다소 개선됐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의 BIS 비율이 지난해 9월말 9.77%에서 12월말 13.20%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11.90%에서 13.42%로, 하나은행은 10.66%에서 13.27%로, 씨티은행은 9.40%에서 12.69%로 각각 상승했다.

국민(4조1000억원), 신한(1조8000억원), 하나(2조1000억원), 씨티(1조원) 등 4개 은행의 자본확충규모는 9조 원에 달했다.

반면 우리(11.67%), SC제일(11.18%), 외환(11.71%), 대구(11.95%), 경남(11.78%), 기업(11.39%), 수출입(8.67%), 농협(11.12%), 수협(11.47%) 등 9개 은행은 금감원이 제시한 BIS 비율 권고치 12%에 미달했다.

금감원의 기본자본비율 권고치에 미달한 은행은 11개에 달했다. 우리(7.70%), 대구(7.98%), 부산(8.43%), 광주(7.58%), 제주(8.19%), 전북(7.50%), 경남(7.84%), 기업(7.24%), 수출입(7.31%), 농협(6.78%), 수협(6.09%) 등이 9%에 못 미쳤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본자본비율이 낮은 은행들이 권고치인 9%를 충족하려면 9조원의 자본수혈이 필요하다"며 "이번 주 출범하는 은행 자본확충펀드 규모도 이와 비슷한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양규 기자 kyk7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