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성취도 성적 부풀리기 의혹 전국 확산 조짐

교육당국이 16개 시·도교육청에 대한 감사에 착수하기로 한 가운데 부산과 서울에서도 성적 부풀리기 의혹이 제기되며 전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1일 전북 임실교육청이 관할 초등학교의 '기초학력미달' 학생수를 조사조차 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이후 대구와 충남 공주 등에서도 허위 보고 사례가 연이어 드러나고 있다.

대구에 있는 초등학교 2곳은 학력이 미달되는 학생들을 아예 빼거나 축소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충남 공주에 있는 중학교에서는 기초학력 미달자 11명을 빠뜨린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에서도 재채점으로 학업성취도 평가 성적을 부풀리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허위 보고 사례가 전국에서 나타나는 양상이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는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에 대한 감사에 착수했다. 성적 집계 오류와 성적 부풀리기 등을 중점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감사가 진행될 경우 추가로 성적 오류가 확인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학업성취도 평가의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를 허위 보고했던 전북 임실교육청의 통계 자료가 원천적으로 조작된 정황도 드러나고 있다.

임실교육청이 일선 초등학교의 평가결과를 확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 허위로 상급기관에 보고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 19일 전북도 교육청과 임실교육청은 담당 장학사가 1월6일 일선 초등학교에 전화를 걸어 성취도 평가 결과를 보고 받은 뒤 이를 취합해 상부에 보고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임실 지역 14개 초등학교 교장 및 교사들은 교육청의 발표내용과 달리 당일 박모 장학사에게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와 관련된 보고를 한 적이 없는 것으로 속속 확인됐다.

임실교육청이 이처럼 허위 보고하게 된 것은 담당 장학사가 보고기한인 5일을 15일로 착각하고 있다가 6일 도교육청으로부터 보고독촉 전화를 받고 급히 처리하는 과정에서 허위 보고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