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워낭소리'? 독립영화계 '불가능' vs 영진위 '가능'


[아시아경제신문 고경석 기자] 영화 '워낭소리'가 전국 50만명을 돌파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의 독립영화 지원 정책에 관한 논쟁이 뜨겁게 일고 있다.

독립영화계 측은 11일 서울 광화문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에서 '독립영화의 현실을 거정하는 감독모임 긴급 기자 간담회'를 열고 영진위의 독립영화 지원 정책을 비판했다.

이어 영진위는 "독립영화 개봉 지원을 없애는 대신 제작 지원에 집중할 것"이라고 해명에 나섰고,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광부) 장관은 독립영화계 인사들을 초대해 이들의 의견을 듣고 독립영화 지원 시스템 구축을 촉구했다.

● '워낭소리' PD, "제2의 '워낭소리'는 불가능"

11일 기자간담회에는 '워낭소리'의 이충렬 감독과 제작자인 고영재 한국독립영화협회 사무총장, '똥파리'의 양익준 감독 등이 참석해 영진위의 독립영화 지원 정책과 극장들의 부당한 관행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고영재 사무총장은 "영진위가 '다양성영화 마케팅 지원사업'을 폐지해 '워낭소리'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독립영화들이 이 사업의 혜택을 받아 개봉할 수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양성영화 마케팅 지원사업은 다큐멘터리나 독립영화, 저예산영화 등에 영진위가 2000만~5000만원을 개봉 비용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영진위는 이 사업에 쓰일 예산으로 10편의 저예산 영화에 71억원을 지원하겠다는 내용의 '한국영화 제작 활성화를 위한 프로모션' 사업을 진행 중이다.

고 사무총장은 "영진위가 다양성 영화라는 명칭을 없애는 대신 상업영화와 비상업영화로 나누고 독립영화에 대한 지원을 줄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극장의 관행에 대해서도 비판도 이어졌다. 디지털 상영이 가능하면서도 필름을 요구한다는 것. 1벌당 약 200만원이 드는 프린트 비용을 감당하기 힘든 독립영화 제작사에 큰 부담이 된다는 설명이다.

고 사무총장에 따르면 120개 스크린에서 상영되는 '워낭소리'의 경우 필름으로 배급하면 약 2억 5000만원이 들지만 파일과 테이프로 상영할 경우 약 2000만원으로 배급이 가능하다.

● 영진위 "독립영화 개봉 지원 대신 제작 지원 집중"

영진위는 독립영화 지원사업 축소 비판에 대해 "영진위의 독립영화 분야 지원사업은 축소되지 않았으며 2009년에는 독립영화제작지원, 다양성 영화관 운영지원 등 다양성 영화 직접지원예산 40억원이 편성됐다"고 밝혔다.

다양성영화 마케팅 지원사업 폐지 사유에 대해서는 "그동안 개봉 여건 개선을 위해 실시했던 사업의 성과를 기반으로 올해부터는 제작 여건 개선을 위한 사업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해명했다.

영진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다큐멘터리 제작 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2008년 중형투자조합 출자사업'을 통해 다큐멘터리 5% 의무 투자라는 획기적인 사업을 설계해 지난 1월말 300억 규모의 투자조합을 결성했다.

독립영화제작지원 6억과 더불어 본 출자사업을 통해 15억원 규모의 자본이 형성될 것이며 연간 2~3편의 한국 다큐멘터리 개봉시장에 안정적인 자본 투자를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영진위 측의 설명이다.

● 유인촌 문광부 장관 "독립영화 인큐베이팅 시스템 구축이 필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독립영화의 현실을 거정하는 감독모임 긴급 기자 간담회'이 열린 다음달인 12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독립영화 관계자들의 고충과 요구 사항을 듣고 유 장관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자리였다.

유 장관은 독립영화계의 의견을 수렴해 25개의 독립영화 상영관을 한 곳에 집중할 것과 독립영화 인큐베이팅 시스템 구축을 주문했다.

유 장관은 "영진위가 있기 때문에 문광부가 너무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전제 하에 "현재 25개로 흩어져 있는 독립영화 상영관을 한 곳에 집중해 '어디에 가면 독립영화를 볼 수 있다'는 인식을 주는 것이 좋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아울러 독립영화 지원방식에 대해서는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며 "40명에게 조금씩 나눠주는 것보다 될 것 같은 20명에게 확실히 지원해 주는 것이 낫다. 다만 실패했어도 가능성이 있는 작품들은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도입해 지원해주라"고 주문했다.

고경석 기자 kave@asiae.co.kr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