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닌텐도' 시동건다

지난 2일 이명박 대통령이 '닌텐도'에 대해 언급한 후 관련 정부 부처들이 '한국형 닌텐도'를 만들기 위한 지원책을 만드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다.

게임기와 관련한 하드웨어는 지식경제부가, 콘텐츠는 문화체육관광부가 담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형 닌텐도' 개발을 위해 두 부처가 경쟁적으로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점이 눈에 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10일 게임 관련 원천기술개발에 집중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을 밝히는 등 선수를 쳤다.

게임기를 즐길 때는 여러 감각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오감 활용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 지경부의 설명이다.

지식경제부는 이를 위해 '실감형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개발에 10억원, '감성서비스 모바일 단말기' 개발에 15억원을 배정했다. 이를 통해 확보된 원천 기술을 게임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달 21일 문화체육관광부 역시 한국게임산업진흥원과 추진하는 '글로벌게임허브센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차세대 게임콘텐츠 및 솔루션 15개 과제에 4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글로벌게임허브센터는 게임개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관련기업을 육성하는 등 차세대 게임시장을 창출·선점하기 위해 다각적인 지원을 펼칠 계획이다.

하지만 게임 산업계는 정부의 지원책에 대해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게임산업협회 정책팀 신필수 팀장은 "우리나라 게임산업은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이 주력인데 지경부에서 개발한다는 오감 활용 기술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신 팀장은 "닌텐도의 성공 요인은 단순한 게임 개발이 아닌 세대를 뛰어넘어 게임을 즐기는 새로운 문화와 시장을 창출한 데 있다"면서 "이것은 정부의 정책 이전에 모든 게임산업 종사자들이 고민하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