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극복 위한 노사민정 대책회의 출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일자리나누기 등 고통분담 방안을 논의할 노사민정 비상대책회의가 3일 공식 출범했다.

비상대책회의는 이날 서울 여의도 노사정위원회에서 발족식을 열고 한 달간 5차례 실무협의와 차례 대표자 회의를 거쳐 이달 말께 노사민정 대타협 합의문을 도출할 계획이다.

대책회의는 발족 선언문에서 "앞으로 상당기간 경제성장이 위축되고 이로 인해 일자리 감소 등 고용사정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개별주체의 이익보다 국가 전체를 생각하는 대승적 견지에서 사회적 합의를 이뤄 경제위기 극복의 견인차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대책회의는 ▲노사 고통분담을 통한 일자리 유지와 나누기 ▲실직자.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 방안 ▲국민적 지지와 참여방안, 사회적 합의의 전국적 확산과 실천방안 등의 의제를 다루기로 했다.

대책회의 노사 대표로는 한국노총, 한국경영자총협회,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5단체가 참석했다.

또 바른사회시민회의, 한국YMCA전국연맹, 여성단체협의회, 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시민단체가 참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오는 6일 자체 회의를 통해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민노총은 정부가 비정규직법 개악을 강행하는 상황에서 대화의 진정성이 의심된다며 불참 의사를 밝혔다.

정부 대표로는 이영희 노동부 장관과 보건복지가족부 전재희 장관, 노사정위원회 김대모 위원장, 기획재정부 허경욱 차관, 지식경제부 임채민 차관이 이날 자리에 참석했다.

이밖에도 와 한국주교회의,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한불교조계종 등 종교계와 이세중 전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최종태 서울대 명예교수, 김수곤 경희대 명예교수, 성대석 언론인협회 회장 등이 사회원으로 참여했다.

대책회의는 "사회적 합의가 산업현장 전반은 물론 사회 구석구석까지 확산돼 사회통합을 이룸으로써 세계 일류 국가 도약의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hjlee303@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