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조절 못하는 천식환자, 亞평균 2배↑"

자신의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는 국내 천식환자의 숫자가 아시아 평균의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환자들이 자신의 천식증상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같은 사실은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팀이 3일 공개한 천식지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연구 결과를 보면 증상 완화를 위해 스테로이드 흡입제를 사용하는 천식 환자는 전체의 고작 0.2%에 불과했다.

이는 아시아 평균 9.0%와 비교하면 45분의 1 수준.

지난 1년간 정기적으로 약물을 투여한 비율도 23%에 머물렀다.

또 천식 관리 교육을 받아본 경험도 14.5%밖에 되지 않았다. 대체요법을 경험해본 천식 환자는 26.9%였다.

만성병조사팀은 또 천식 질환으로 발생하는 사회ㆍ경제적 비용은 연간 2조5000억 원으로 국내 사망률 1위 질환인 암(5조5000억원)의 절반 수준에 육박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와 함께 '천식예보제' 도입을 통해 천식 발작에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고 질환 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윤아 만성병조사팀 책임연구원은 이날 오후 세종로 프레스센터에서 보건복지가족부와 기후변화건강포럼이 공동 주최하는 제3차 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7년 3대 알레르기 질환인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약 714만 명에 달해 2002년 552만 명보다 29.3%나 증가했으며, 이 가운데 천식 환자는 17.7% 늘었다.

김성배 기자 sb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