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범수 정치경제부 차장
그러나 9명 중 6명이 비박계(비박근혜계)와의 경선에서 패했고 1명은 아예 공천 배제됐다. 청와대 출신을 포함해 이른바 '진박 후보'라 불리던 이들의 몰락을 해석하면서 각 인물의 능력을 들이댄다면 우리는 어떤 교훈도 얻을 수 없다. 이들의 실패를 관통하는 무엇인가를 살펴 고민할 계기로 삼는 것은 낙천 인사들의 향후 행보는 물론 현 정부가 민심을 대하는 방식에 발전적 기운을 심어줄 좋은 자양분이 될 것이다.
청와대 참모들은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라면"이란 말을 자주 한다. 이번에 낙천한 참모들 역시 청와대 근무 때 이 말을 입에 달고 살았다. 그러나 그들이 지역에서 선택받지 못했다는 것은 그들에게 신념으로 내면화 돼 버린 명제, '박근혜정부의 성공이 곧 국민의 성공'이라는 등치를 시민들 상당수가 동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좀 심하게 표현하자면 청와대 참모들이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가로막고 있다는 생각의 발로일 수도 있다. 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여전히 4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진박 인사들이 낙천한 지역에서 결국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된다면 이 해석이 맞을 가능성이 더 높다.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금기시하는 편협함, 대통령의 성공이라는 미명 아래 반대편에 가해온 비이성적 탄압, 정부의 실책을 인정하면 대통령에 대한 불충이 된다고 여기는 이상한 분위기, 한 마디로 요약할 때 박근혜정부의 성공과 국민의 성공이 미묘한 괴리를 노출했을 때 청와대 참모들이 견지했던 태도를 시민들은 심판한 것이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