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정부가 30여년 전 부터 계획을 세워 2010년 들어서야 모습을 갖춘 '마리나 베이'지역. 도시의 랜드마크가 된 복합리조트 '마리나샌즈베이'를 비롯해 화려한 스카이라인을 자랑하는 이 곳은 싱가포르식 재생사업의 핵심인 간척사업에 의해 탄생했다.
[아시아경제 뉴욕 김은별 특파원] 내달 12일 열리는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선정된 싱가포르는 중림성과 인프라 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지정학적으로 '중립국'의 성격을 띠고 있는데다 경호와 안전성, 이동의 편의성, 취재환경 측면에서 탁월한 조건을 갖춰 북미정상회담과 같은 대형 외교이벤트를 치러내는데 있어 최적의 장소로 받아들여졌다는 해석이다. 싱가포르는 북한과 외교관계가 있고 북한 대사관이 위치하며, 아시아권 제 3국 외교를 원할히 진행한 바 있는 곳이다.
특히 국제 항공교통의 허브이기 때문에 미 대통령의 전용기인 에어포스원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옛소련제 전용기의 보수·정비가 가능하고, 평양∼싱가포르가 6∼7시간 거리인 4700여㎞여서 김 위원장의 전용기가 중간 급유 없이 비행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양국 대사관이 모두 자리 잡고 있어 회담의 실무준비에도 유리하다. 북미 접촉의 전초기지 성격 외에도 2015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전 대만 총통 간 양안 분단 66년 만의 첫 회담이 열리는 등 제3국의 최고위급 회담을 자주 치러낸 장소이기도 하다.
또 싱가포르가 북한의 교역국이라는 점, 비즈니스맨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이 화려한 도시국가에서 전 세계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기를 원하는 점 등도 북미 정상 양측에 손해 볼 것이 없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북미 정상이 첫 회담을 싱가포르에서 하고 그 성패에 따라 상호방문 등의 형식으로 추가회담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의 상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판문점을 고민하기도 했지만, 미국 행정부 관리들이 북미정상회담이 만족스러운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 경우 닥칠 정치적 후폭풍 등을 고려해 말린 것으로 알려졌다. 첫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보다 '중립적'인 제3국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낸 것이다.
판문점에서 이미 남북정상회담이 열렸고, 스포트라이트가 북한과 미국보다는 한국에 쏠릴 것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 김은별 특파원 silver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집들이 선물 30만원 보냈더니…친구가 배송비도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