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건강을 읽다]'8월의 고통' 식중독…예방법은?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개인위생 철저히…음식은 무조건 끓여 먹어야

[사진=아시아경제DB]

[사진=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8월이 되면 식중독 위험이 높아집니다. 기온이 오르기 때문이죠. 기온이 올라가면 식중독 원인균인 살모넬라와 대장균 등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2015년 까지 5년 동안 식중독 환자 수는 35만6000명이었습니다. 이 가운데 8월에 3만6000명의 식중독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노로바이러스가 유행하는 12월과 1월을 제외하고 8월에 식중독 발생이 가장 많았습니다.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세균성식중독'으로 병원을 이용한 환자가 4만6989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장병원성대장균감염'은 4551명, '살모넬라장염'이 2343명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 세균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 등입니다.

장염살모넬라균은 육류나 계란, 우유, 버터 등에 균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이 오염될 경우 사람에게 섭취돼 발병합니다. 오염된 음식을 먹고 8~48시간이면 고열, 복통,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장염비브리오균은 비브리오 파라헤몰라이티쿠스에 의한 장염입니다. 주로 민물과 바닷물이 합쳐지는 해수에서 서식합니다. 해변에서 어패류나 생선을 날로 먹고 난 뒤에 생기는 식중독이면 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조개, 굴, 낙지, 생선 등을 날로 먹은 후 10~24시간이 지나서 배가 아프고 구토, 심한 설사가 나고 열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에 의해 발병하며 비브리오장염보다 훨씬 중증 경고를 보입니다. 초기에는 장염증상을 일으켰다가 패혈증을 일으켜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간 기능이 나쁜 사람이나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을 앓은 사람에게서 중증으로 진행됩니다. 어패류나 생선회를 먹고 10~24시간 후에 열과 피부반점, 물집 등이 생기고 전신의 통증과 함께 팔이나 다리의 궤사가 일어나며 패혈증이 악화되면 의식을 잃거나 쇼크 상태에 이르러 결국 사망합니다.

식중독은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면 회복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입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과 식품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화장실에 다녀온 후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 만들기 전과 식사 전에도 손을 씻어야 합니다. 흐르는 물에 비누로 씻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을 조리할 때 완전히 익히고 되도록 가공식품을 사용하고 조리된 식품은 바로 먹어야 합니다.

날 음식과 조리된 음식이 섞이지 않도록 하고 음식을 보관할 때도 상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부엌을 깨끗이 하고 도마나 칼, 행주 등은 정기적으로 삶거나 햇볕에 말려 소독합니다. 중요한 것은 항상 깨끗한 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우흥정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8월에는 기온이 급격히 올라가고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된다"며 "야유회나 가족 나들이 등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급식이나 도시락 등으로 인한 집단 식중독 사고가 일어나기 쉽다"고 말했습니다.

우 교수는 "흔히 잘못 알고 있는 사실로 냉장 보관된 음식은 안전하다고 믿는 것인데 전혀 그렇지 않다"며 "음식이나 음식재료가 요리 중이나 이동 중에 오염이 되었다면 냉장고에 넣어두더라도 음식물 속에 균이 그대로 살아있고 냉장고 속에서도 균이 자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