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생협·신협·공동육아·시민단체 등 협동조합 모아모아 네트워크 구축
이를 위해 위원장 간사 고문 각 1인과 위원 4인이 협의회 설립준비위원회를 구성, 3월 설립을 목표로 협의회 구성 기준과 범위를 결정하는 등 단계적으로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이번 과정은 구청이나 개별 단체 주도가 아닌 성북구 협동조합협의회 설립준비위원회와 성북구 사회적경제지원단이 뜻을 모아 자발적으로 마련한 것이라 협동조합 현장의 생생한 사례를 접할 수 있다.

성북구 사회적기업 허브센터에서 매주 수요일 저녁 총 3강으로 진행되는 협동조합전문가과정. 성공회대학교 김동준 박사가 9일 협동조합의 역사와 국내 협동조합 현황을 주제로 첫 강연을 했다.
9일부터 23일까지 성북구 사회적기업 허브센터에서 매주 수요일 오후 총 3강으로 진행된다. 9일은 성공회대학교 김동준 박사가 협동조합 역사와 국내 협동조합 현황에 대해 강연했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최혁진 본부장이 협동조합기본법과 7대 원칙에 대한 강의도 마련 돼 있다. 참여조합 소개와 내가 꿈꾸는 협동조합 상상하기 등 내용도 포함 돼 있다.
뿐 아니라 협의회와 성북구 사회적경제지원단이 공동으로 협동조합 심화과정을 운영,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협동조합 설립희망자의 설립 지원 등 다각적인 활동을 해왔다.
현재 성북구에는 기본법 시행(2012년12월1일) 이후 성북도시생활 폐기물관리 협동조합과 성북의류자원순환 협동조합이 설립됐으며 설립준비 중인 협동조합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성북구 협동조합협의회를 통해 성북구 협동조합 간 협력을 강화하고 경쟁력으로 연결 돼 실감나는 혜택을 보다 많은 이들이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성북구가 앞으로도 건전한 협동조합 생태계 형성과 활성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과 ☎920-2309
박종일 기자 drea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