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 출발했지만 반등 마감…다우 0.32% ↑
美 국채 금리 급등세 진정, 달러는 약세
월가 "투자자 다 아는 악재…새 내용 없어"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108년 만에 최고 등급에서 전격 강등했지만 19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의 3대 지수는 일제히 소폭 상승해 마감했다. 개장 직후 주식, 국채, 달러가 동반 하락해 '셀 아메리카' 재개 조짐이 엿보였지만 이미 널리 공유된 악재란 점에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국채 수익률이 소폭 오르고 달러화가 하락했지만 증시는 반등에 성공하며 지지력을 보였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7.33포인트(0.32%) 오른 4만2792.07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5.22포인트(0.09%) 상승한 5963.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36포인트(0.02%) 오른 1만9215.46에 거래를 마쳤다.
무디스는 지난 16일 연방정부 부채 급증을 지목하며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 'Aaa'에서 'Aa1'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로써 미국은 피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에 이어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최고 신용등급 지위를 잃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불확실한 관세 정책에 이어 국가 신용등급 강등까지 겹치며 달러 자산이 하락하는 셀 아메리카가 재점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짙어졌다.
증시는 미 신용등급 강등 후 첫 거래일인 이날 개장 직후 하락 출발했다. 미 국채는 장기물 중심으로 매도세가 확산되며 수익률이 급등했고 10년물 금리는 한때 4.5%, 30년물 금리는 5%를 돌파했다. 달러 가치도 뛰었다. 하지만 연방정부 부채 문제가 이미 노출된 리스크란 점에서 시장은 이내 회복력을 보였다. 주식 시장은 반등했고, 국채 금리 급등세도 진정됐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애널리스트는 "무디스 보고서는 모든 투자자가 이미 알고 있는 미국 재정 ??상황에 대해 새로운 내용을 담지 않았다"며 "시장이 잠시 숨을 돌릴 수 있는 약간의 틈을 제공했을 뿐 향후 6~12개월간 우리가 예상하는 강세장 전망을 구조적으로 바꿀 만한 내용은 아무것도 없었다"고 평가했다.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토머스 리 매니징 파트너 겸 리서치 수석은 "무디스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언급했기에 놀랄 만한 일은 없다"며 "추가 정보가 없기 때문에 주요 채권 운용사 누구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식은 소폭 상승했지만 국채 가격과 달러는 하락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71% 하락한 100.23을 기록 중이다.
다만 국채 가격이 낙폭을 줄이며 오전만 해도 장기물 중심으로 급등세였던 국채 금리는 오후 들어 진정세를 나타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bp(1bp=0.01%포인트) 오른 4.45%, 3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일보다 1bp 상승한 4.91% 선을 기록 중이다.
일각에서는 미 부채 위험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도 제기된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설립자인 레이 달리오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신용평가는 정부가 부채를 상환하지 않은 위험만 평가한다는 점에서 신용위험을 과소평가한다"며 "(신용평가사는) 국가가 빚을 갚기 위해 돈을 찍어내고 이로 인해 채권 보유자가 화폐 가치 하락으로 손실을 볼 수 있는 위험은 포함하지 않는다. 미 정부 부채의 위험은 훨씬 더 심각하다"고 경고했다.
종목별로는 월마트가 0.12%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담으로 인한 가격 인상을 예고한 월마트에 가격 인상 계획 철회를 촉구하며 장 초반 하락했지만 이후 낙폭을 줄였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1.01% 올랐고, 애플은 1.17% 내렸다. 엔비디아는 0.13% 올라 장을 마쳤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