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논단]보조배터리 기내 반입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리튬배터리 열·압력에 취약
'30% 이하 충전율' 활용 필요
승객에 명확한 지침 제공해야

[논단]보조배터리 기내 반입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
AD
원본보기 아이콘

리튬 이온 배터리의 기내 반입에 대한 항공사의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 배터리를 승객이 직접 휴대하도록 권고하고, 선반 보관을 금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런데 항공사의 구체적인 대책은 중구난방이다. 심지어 지퍼가 달린 ‘비닐백’을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어처구니없는 항공사도 있다. 국토교통부도 배터리의 반입 개수 제한, 보관 위치 지정, 제품 정보 표기 확인 등을 규정한 ‘항공 안전 혁신 대책’을 준비 중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는 대부분 외부의 ‘압력’이나 ‘열’에 의해서 발생한다. 특히 외부의 압력에 의한 배터리의 물리적 변형이 문제다. 리튬 이온 배터리 내부의 분리막이 손상되면 심각한 내부 합선(short circuit)이 발생하고, 걷잡을 수 없는 열폭주로 이어지게 된다. 외부의 압력이 장시간 지속되면 상황은 더욱 나빠진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위탁 수하물에 배터리를 금지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보조 배터리가 외부 압력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승객에게 분명하게 일깨워주는 것이 항공사의 책임이다. 보조 배터리가 들어있는 가방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알려줘야 한다. 배터리에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무용지물일 수밖에 없는 비닐백은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 실제로 외부 합선에 의한 리튬 이온 배터리의 화재는 찾아보기 어렵다. 국토교통부도 혁신 대책에 그런 사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리튬 이온 배터리의 화재 가능성이 ‘충전율’에 따라서 증가한다는 사실도 중요하다. 화학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배터리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진 리튬 이온 배터리의 독특한 특성이다. 충전율이 높아지면 음극(-극)에 모인 리튬 이온의 양이 늘어나면서 열폭주를 일으키는 내부 방전의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2016년부터 화물 전용기의 화물에 적용하고 있는 ‘30% 이하 충전율’ 규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비행기에 탑승하기 전에 보조 배터리의 충전율을 충분히 낮추도록 권고해야 한다는 뜻이다. 보조배터리의 전기를 고품질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폰으로 옮겨두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물론 보조 배터리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싶은 소비자에게는 불편한 일이다. 그러나 끔찍한 항공기 화재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그런 정도의 불편은 기꺼이 감수할 수밖에 없다.

리튬 이온 배터리의 화재 진압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중요하다.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를 충분한 양의 물이 들어있는 침수조(沈水槽)에 넣어버리는 것이 가장 확실한 대안이다. 순식간에 걷잡을 수 없이 번지는 배터리 화재의 특성상 머뭇거릴 여유가 없다. 기내의 여러 곳에 침수조를 마련해 둘 필요가 있는 셈이다. 배터리 화재에 물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정보는 근거 없는 가짜 뉴스다.


보조 배터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개선해야 한다. 보조 배터리를 구입하는 소비자는 ‘싼 게 비지떡’이라는 속담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싸구려 보조 배터리는 분리막의 안정성을 신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도 보조 배터리의 품질 관리를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한 번 쓰고 버리는 단추(버튼) 모양의 리튬 (금속) 배터리와의 혼동도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골치 아픈 문제다.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