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수출 건수 2015년 62건에서 2020년 30건으로 ↓
수출 계약 금액도 1860억원에서 416억원으로 급감
업계 "탈원전 국가 제품 못 믿겠다며 계약 의사 철회"
[아시아경제 세종=이준형 기자] 원자력발전 수출은 최근 5년새 계약 건수가 반 토막 났을 정도로 탈원전 직격탄을 맞았다. 윤석열 당선인이 원전 수출 활성화를 강조한 만큼 새 정부가 내놓을 정책에 이목이 쏠린다.
19일 한국원전산업협회가 발표한 ‘2020년 원전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원전 수출 계약 건수는 30건으로 5년 전인 2015년(62건)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 같은 기간 원전 수출 계약 금액은 1860억원 규모에서 약 416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2020년 원전 수출액은 전년(약 265억원) 대비 100억원 이상 늘었지만 정부의 탈원전 기조가 본격화하기 이전과 비교하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보기에 힘들다는 평가다.
원전 수출이 위축된 건 탈원전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당초 국내 원전 업계는 탈원전 정책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 발주량이 줄자 해외로 눈을 돌렸다. 하지만 해외 원전 수요자들은 ‘탈원전 국가’ 제품을 선호하지 않았다. 원전용 제습장치 제조업체 A사 대표는 "탈원전 초기 영국 원전 공기업에서 먼저 견적을 문의해왔다"면서 "하지만 결국 탈원전 국가에서 만드는 제품은 못 믿겠다고 해서 계약이 무산됐다"고 밝혔다.
원전 업계는 차기 정부에 기대를 걸고 있다. 원전 수출 활성화는 ‘탈원전 백지화’를 강조한 윤 당선인의 주요 원전 공약이기 때문이다. 앞서 윤 당선인은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고 관련 일자리 10만개를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원전수출지원단을 신설해 수출 지원을 체계화하겠다는 공약도 있다. 수출 경쟁력을 높이려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원전 세일즈’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도 대응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산업부는 최근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올 상반기 내 ‘원전수출 전담 거버넌스’를 설치·운영하는 방안을 보고했다. 기술, 외교, 방산 등 정부 역량을 총동원해 원전 수출을 지원하는 기구다. 또 산업부는 한미 원전 공조를 강화해 미국의 외교력 및 원천 기술과 한국의 원전 시공능력을 합한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고 보고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