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현대차 미래공장 원형은 한국 아닌 싱가포르에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③ 4월 가동 앞둔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
미래車 경쟁력 확보 위한 스마트 팩토리
현대차그룹 전 세계 생산공장 벤치마킹
인재확보·신사업 연구개발 유리한 여건

지난달 중순 열린 싱가포르모터쇼에 현지에서 조립한 현대차 전용전기차 아이오닉5가 전시돼 있다. 현대차는 초기물량 100대를 자선경매에 올릴 예정이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지난달 중순 열린 싱가포르모터쇼에 현지에서 조립한 현대차 전용전기차 아이오닉5가 전시돼 있다. 현대차는 초기물량 100대를 자선경매에 올릴 예정이다.<사진제공:현대차그룹>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현대차 가 싱가포르에 짓고 있는 글로벌 혁신센터(HMGICS)가 오는 4월 문을 연다. 이 시설이 눈길을 끄는 건 자동차 개발부터 제작, 판매 등 새로운 차가 태어나는 모든 과정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간단한 주행시험로를 비롯해 전시·시승·차량인도·정비 등 고객경험 공간도 있다. 전 세계에서도 흔치 않은 설비다.


자동차 산업은 전형적인 규모의 경제가 통용되는 분야다. 대규모 양산체제를 갖춰 생산단가를 낮추는 방식이다. 하지만 싱가포르 혁신센터는 소규모 주문제작 형태로 굴러간다.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는 과거와 같은 공급자 중심의 대량 생산방식이 적합하지 않다고 본 셈이다. 차량을 만드는 것을 비롯해 기획, 연구개발 등 완성차 기업이 영위하는 전 영역에서 새로운 시도를 가장 먼저 적용할 예정이다.

각종 자동화 설비를 쓰는 것은 물론 인공지능(AI) 기반 제어시스템, 로보틱스 등 첨단 기술을 녹여 스마트 팩토리로 운영하는 게 회사 측 목표다. 앞으로 이곳에서 개발한 기술·기법, 플랫폼을 현대차그룹이 운영중인 전 세계 공장 곳곳에 뿌린다. 2025년 가동을 목표로 추진중인 미국 조지아 신규 전기차 공장, 나아가 앞으로 국내에 새로 지을 공장도 마찬가지다.


현대차그룹 싱가포르혁신센터 조감도<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 싱가포르혁신센터 조감도<사진제공:현대차그룹>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에 본사를 둔 현대차그룹이 자동차 생산 인프라가 사실상 없는 싱가포르에 미래 공장의 모태를 만든 건 글로벌 인재유치 과정에서 우리나라보다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선진항공교통(AAM)·자율주행 등 현대차그룹이 미래 먹거리로 삼은 신사업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것도 낙점 배경이다. 도시국가로 첨단 정보통신(IT)에 관한 기술수용도가 높기 때문이다.


HMGICS 사례는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가 단순히 해외 공장을 특정 지역에 하나 더 지은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 미래 완성차 생산거점을 결정하는 기준이 과거와는 달라졌다는 걸 보여준다. 자동차 공장은 20세기 초반 포드의 컨베이어벨트로 대표되는 분업 조립 시스템이 첫선을 보인 후 지금껏 이를 변조한 파생모델이 주류였다. 이후 제너럴모터스나 도요타, 폭스바겐도 저마다의 혁신공법으로 글로벌 선두권 완성차 업체로 치고나왔다.

미국 미시간주 GM 공장에서 조립중인 쉐보레 볼트 EV<사진출처:연합뉴스, 로이터>

미국 미시간주 GM 공장에서 조립중인 쉐보레 볼트 EV<사진출처:연합뉴스, 로이터>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의 자동차 산업을 격변기로 일컫는 건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성격이 다른 변화가 한창 진행중이기 때문이다. 전기나 수소 등 새로운 동력원을 쓰는 것은 물론 자율주행·커넥티드카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된 IT장치로 인식되고 있어서다.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자동차(SDV)를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미래차 시대 고용감소는 불가피한 일로 업계에서는 내다본다. 공정 전반에서 로봇의 역할이 계속 늘고 있다. 게다가 전동화로 차량 부품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 그럼에도 주요 자동차 생산국들이 자동차 산업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는 건 미래에도 이동수단을 정점으로 한 모빌리티 산업은 국가 산업 전체의 흥망을 결정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고용·수출 등 주요 경제지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물론 각종 전·후방 연계산업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여기에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첨단 기술의 집약도가 갈수록 높아지는 데다, 차량 운행정보가 한 사회의 안보와도 직결되는 점을 감안하면 국가가 나서 챙길 가치가 충분하다는 얘기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6년 만에 솔로 데뷔…(여자)아이들 우기, 앨범 선주문 50만장 "편파방송으로 명예훼손" 어트랙트, SBS '그알' 제작진 고소 강릉 해안도로에 정체모를 빨간색 외제차…"여기서 사진 찍으라고?"

    #국내이슈

  • 美대학 ‘친팔 시위’ 격화…네타냐후 “반유대주의 폭동” "죽음이 아니라 자유 위한 것"…전신마비 변호사 페루서 첫 안락사 "푸바오 잘 지내요" 영상 또 공개…공식 데뷔 빨라지나

    #해외이슈

  • [포토] 정교한 3D 프린팅의 세계 [포토] '그날의 기억' [이미지 다이어리] 그곳에 목련이 필 줄 알았다.

    #포토PICK

  • 제네시스, 中서 '고성능 G80 EV 콘셉트카' 세계 최초 공개 "쓰임새는 고객이 정한다" 현대차가 제시하는 미래 상용차 미리보니 매끈한 뒤태로 600㎞ 달린다…쿠페형 폴스타4 6월 출시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 용어]뉴스페이스 신호탄, '초소형 군집위성' [뉴스속 용어]日 정치인 '야스쿠니신사' 집단 참배…한·중 항의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