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준법감시위, 내부통제 구조로 자리잡아
3기 출범 이후 지난해 11월 첫 공식 회동
정치적 거리두기 강조한 한경협 회비 판단
이찬희 위원장 “삼성의 외압 방파제 되겠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네 차례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감위)와 간담회를 가졌다.
16일 삼성 준감위가 공개한 2024년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장과 준감위 간담회는 ▲2020년 5월 ▲2020년 10월 ▲2021년 10월 ▲2024년 11월 등 총 네 차례 열렸다.
이 중 첫 회동은 2020년 5월, 이 회장이 "새로운 삼성을 만들겠다"며 대국민 사과를 발표한 직후에 이뤄졌다.
해당 사과는 준법감시위원회의 첫 공식 권고에 따른 조치였다. 이 회장의 발언 직후 준감위는 독립성과 실효성을 보장받는 외부 감시기구로 자리를 잡았고, 계열사 이사회 전 사전 검토권과 최고경영진 리스크 조사 권한 등을 확보하게 됐다.
2020년과 2021년에 열린 추가 간담회에서도 이 회장은 준법감시 시스템 강화를 포함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인권, 내부거래 문제 등 각종 준법 의제에 대해 위원회와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내부 감시 시스템이 단순한 통제 기능을 넘어, 글로벌 사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이 회장이 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2024년 11월 간담회는 3기 준감위 출범 이후 이뤄진 첫 공식 회동이다. 준감위는 "위원들과 이 회장이 준법경영에 대해 격의 없이 의견을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이 반복적으로 위원회와 간담회를 진행한 배경에는, 준법이 삼성의 사후 규제가 아닌 사전적 시스템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준감위를 통한 외부 독립 감시체계가 그룹 전반의 의사결정 구조 안으로 일부 흡수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삼성이 준감위를 통해 내부 통제 체계를 강화해온 지 5년째로 이 회장의 다차례 간담회는 이 기구가 단기적 방편이 아닌 장기적인 지배구조 전략의 일부로 자리잡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준감위는 지난해 7월 위원 전원과 삼성 7개 관계사 대표이사가 참석하는 간담회를 열어 준법경영에 대해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또 지난 2월에는 루마니아, 폴란드, 헝가리 등 동유럽 지역의 삼성 관계사 사업장을 방문해 준법경영 현황을 점검했다.
작년 8월 준감위는 삼성 계열사의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비 납부를 두고 "관계사의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결정하도록 했다"며 사실상 승인 결정을 내렸다.
이와 관련해 이찬희 준감위원장은 보고서 발간사에서 "한경협 가입을 두고 숙고에 숙고를 거듭했다"며 "회원을 보호하고 그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경제인단체는 필요하지만, 단체가 정치권력의 전리품이 되거나 로비 창구가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 기업으로 평가받는 삼성은 특히 정경유착으로 오해받는 일조차 없어야 할 것"이라며 "위원회 역시 공정과 혁신 두 날개로 힘차게 도약할 삼성의 발목을 잡는 부당한 외압을 막아내는 준법의 방파제가 되겠다"고 덧붙였다.
또 이 위원장은 지난 3월 별세한 고(故)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을 추모하며 "평소 준법경영에 대한 굳은 신념으로 위원회 활동을 적극 지원해주신 한 부회장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영면을 기원한다"고 말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고생 애들 학교는? 집은 어쩌나"…해수부 부산행에 직원 86% 반대하는 이유[관가 in]](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61310470097193_174977922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