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SKT, 에이닷에 리벨리온 NPU 테스트…'국산 AI 생태계' 구축 시동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에이닷 통화요약 등 서비스에 리벨리온 NPU 적용 시험
국산 LLM에 국산 NPU 사용…"AI 생태계 자립성 강화"

SK텔레콤 은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과 함께 SKT의 주요 AI 서비스에 리벨리온의 NPU(신경망처리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25일 밝혔다.


NPU는 AI 구현을 위해 특화 설계된 칩으로, AI에 필수적인 반도체로 꼽힌다. 수천개 이상의 연산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딥러닝에 주로 활용된다. 딥러닝은 컴퓨터가 외부 데이터를 조합, 분석해 스스로 학습하는 기술을 뜻하는데, 딥러닝의 등장으로 AI의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

리벨리온의 NPU(신경망처리장치) 아톰 맥스(ATOM-Max). SK텔레콤 제공

리벨리온의 NPU(신경망처리장치) 아톰 맥스(ATOM-Max). SK텔레콤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SKT와 리벨리온은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아톰(ATOM)'을 탑재한 서버를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 ▲PASS 스팸필터링 ▲PASS금융비서 ▲엑스칼리버 등에 테스트하고 있다.


테스트 결과에 따라 아톰의 성능 강화판인 대규모 AI 추론용 AI 반도체 '아톰 맥스(ATOM-Max)'를 이들 서비스에 연내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T는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리벨리온 NPU 서버 도입을 지속 확장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번 SKT AI 서비스에 대한 리벨리온 AI 반도체 테스트 및 상용화 검토가 국내 AI 생태계 자립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은 SKT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A.X)'를 기반으로 이뤄진다. 국산 AI 반도체인 아톰을 통해 서비스된다면 국산 LLM이 국산 NPU를 통해 서비스되는 소버린(주권) AI가 실현되는 셈이다.

양사는 이번 테스트를 시작으로 협력 범위를 지속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상민 SKT 성장사업추진실장은 "국가 간 AI 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이때, 국내 AI 생태계 자립성 강화는 개별 기업이 아닌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며 "SKT는 앞으로도 AI 데이터센터, LLM, AI 반도체 등을 포함한 국내 AI 생태계의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국산 AI 반도체가 SKT의 국산 LLM 기반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게 된 것은 기술적 완성도를 넘어 국내 AI 생태계 자립을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리벨리온은 앞으로도 안정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통해 대한민국이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