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 등을 수사해온 경찰청 특별수사단이 오는 26일 사건 일체를 조은석 내란특검팀에 인계하며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게 됐다.
경찰청 관계자는 23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9일 (내란) 특검 측으로부터 공식 공문을 접수받고 사건 기록과 증거물 일체를 오는 26일까지 특검에 넘기기로 했다"며 "이에 따라 수사관 31명도 특검에 파견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특수단은 윤석열 전 대통령을 포함한 고위 인사들의 비화폰 삭제 지시 의혹, 계엄령 해제 방해 혐의, 대통령경호처 고위 간부들의 사건 개입 여부 등에 대해 수사를 벌여왔다.
특히 특수단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경호처에 자신에 대한 체포 저지를 지시한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로 입건하고 수사해왔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9일 출석해 조사받으라는 경찰의 3차 소환 통보에도 응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수사 계획이 있느냐는 질의에 경찰청 관계자는 "(특수단 해체로) 강제수사 여부 등도 특검이 주체가 되어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비화폰 삭제와 관련해서는 복수의 인물이 입건됐으며 이 역시 특검에 인계될 예정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대인·대물 강제수사에 대해 각각 검찰과 특검과 협의해왔다"며 "일부 압수수색 영장은 기각된 바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특수단 수사 이후 송치된 피의자는 현재까지 6명이며, 나머지 85명에 대해서도 특검에 전면 이관된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다만 별도의 수사결과 발표나 해단 브리핑은 계획되지 않은 상태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폭염특보 3일 지속되면 3일 이상 유급휴가"…'혹서기 휴가 보장법' 나온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013034241068_1752120222.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