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대전환 전남 프로젝트' 소개
국가출생기본수당 신설 등 제안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9일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인구대전환 전남 프로젝트'를 소개, 인구문제 해법으로 독일 연방제 수준의 실질적 지방분권 실현 등 국가 차원의 '구조적 개편'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이날 서울 신라호텔에서 '뒤집힌 인구 피라미드 축의 전환 길을 찾다'를 주제로 열린 전략포럼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국가적 위기 수준의 저출생과 인구감소에 직면했고, 수도권 일극체제는 갈수록 심화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며 "지방을 살리는 것이 곧 국가를 살리는 길이다"고 강조했다.
그 해법으로 전남도가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인구대전환 전남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가족·기회·유입·안착·공존' 5대 정책 축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총 1조3,817억 원이 투입된다. 이를 위해 2024년을 '지방소멸 위기 극복 원년'으로 선포하고, 전국 최초로 '인구청년이민국'을 신설했다.
특히 전국 최초로 도-시군이 공동으로 1세부터 18세까지 20만 원을 지원하는 '출생기본수당'을 추진하고 있다.
김 지사는 저출생 대응의 국가 책임 강화를 강조하면서 "독일과 네덜란드 등 선진국은 유사 정책 시행을 통해 출산율 반등을 이뤄냈다"며 '국가 출생기본수당 도입'을 제안했다.
이어 "전국 최다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전남형 24시 돌봄어린이집'과 '외국인 아동 보육료' 지원 등과 같은 사업을 통해 출산·육아의 공동책임 체계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국 최초로 시행 중인 '전남형 만원주택' 정책도 소개했다. 청년층과 신혼부부에게 월 임대료 1만 원에 신축 아파트를 제공해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전남도의 대표적 주거 정책이다.
올 하반기 곡성군과 영광군에서 시작하는 '전남형 기본소득' 시범사업과, 2030년까지 23GW 규모의 해상풍력·태양광 발전을 통해 햇빛·바람연금 등으로 도민과 수익을 나누는 '에너지 기본소득' 사업을 모범 사례로 잘 만들어 대한민국 기본소득 정책의 표준모델을 만들겠다는 계획도 소개했다.
전남도는 이처럼 다양한 혁신 정책을 추진한 결과 올해 1분기 지역 합계출산율 1.13명을 기록, 9년 만에 감소추세에서 반등하는 효과를 거뒀다. 이는 인구정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김 지사는 "전남도가 아무리 노력해도, 결국 인허가·예산·입법 권한이 중앙에 묶여 있다. 산업단지 지정, 사회보장제도 승인, 규제 해제 등 핵심 권한이 중앙정부에 집중해 지방정부는 손발이 묶인 상태"라며 "여기에 지방의 의사와 입장을 국정에 반영할 제도적 통로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호남취재본부 심진석 기자 mour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