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금융시장이 빠른 경제 성장과 젊은 인구구조 등을 바탕으로 빠르게 팽창하면서, 국내 금융사의 철저한 시장 조사와 현지화 전략, 파트너십 활용 등 체계적인 전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16일 PwC컨설팅은 '인도 증권 및 자산운용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제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인도 금융시장의 주요 트렌드와 과제를 진단하고, 국내 금융사가 현지 진출 시 유의해야 할 전략적 고려사항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인도의 금융시장은 실물자산 선호로 비공식 거래가 많았지만, 최근 금융 인프라 확충과 투자문화 확산으로 공식적인 금융자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14억 명에 달하는 거대한 내수시장, 금융서비스의 낮은 보급률, 정부의 육성 기조까지 맞물리며 인도 금융시장은 고성장 잠재력을 지닌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했다.
특히 인도 주식시장은 개인 투자자 참여와 기업의 실적 개선 등으로 향후에도 고속 성장이 예상된다. 인도의 자산운용 시장 역시 채권형 상품, 리테일 적립식 투자, 디지털 인프라 확장을 중심으로 고성장이 기대된다.
보고서는 외국계 금융사가 인도 금융시장에 진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까다로운 인허가 규제와 로컬 은행 운용사의 압도적 시장 지배력, 브랜드 신뢰성 부족, 문화·제도적 복잡성 등을 언급했다. 실제로 인도에서 자본시장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인도증권위원회(SEBI)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자산운용업을 직접 영위하려면 현지 법인 설립 또한 의무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국내 금융사가 인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려면 보다 정교한 전략이 요구된다. 보고서는 철저한 시장 조사와 현지화 전략, 파트너십 협업, 차별화된 제안 역량 등이 핵심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짚었다. 진출 방식으로는 인수합병, 현지기업과의 합작법인 설립, 독자 법인 설립, 파트너십 및 제휴 등을 제시했다.
조규상 PwC컨설팅 파트너는 인도 금융시장 진출이 "한국 금융사에 있어 도전이자 기회"라며 "지속적인 학습과 적응을 통해 인도 시장에 연착륙한다면 아시아 금융벨트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PwC컨설팅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