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증권은 홈플러스에 대해 독립 회생이 아닌 매각이 예상된다고 16일 전망했다.
삼일회계법인은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를 2조5000억원으로 산정했다. 반면 청산가치는 3조7000억원으로 산정해 청산가치가 1조2000억원 더 높았다. 오린아 LS증권 연구원은 "홈플러스를 계속 운영하는 것보다 청산하는 것이 더 높은 가치로 나타났기 때문에, 독립 회생계획안은 의미가 없게 됐다"며 "적절한 인수자를 찾지 못하면 청산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 연구원은 홈플러스가 매각될 경우 유통업체 외의 인수자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기존 경쟁 유통업체들은 수년간 지속된 내수부진과 온라인 침투, 배송 상향 평준화 등으로 실적 부담이 컸고, 이에 부진 사업을 정리하고 공격적인 외형 성장은 지양하고 있는 추세"라며 "기존 유통업체보다는 다른 쪽에서 인수자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다른 대형마트 사업자에게는 우호적인 환경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홈플러스의 점유율 이탈이 불가피하다"며 "기존 사업자 입장에서는 경쟁 강도가 완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규 인수자가 등장하더라도, 인수 직후 구조조정과 사업 재정비 등 일정 기간의 전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며 "그 공백을 틈타 기존 유통업체들이 점유율을 확대하고 협상력을 높일 수 있는 간접적인 수혜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