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와 기업이 개발한 탄소공간지도가 우즈베키스탄에 구축된다. 탄소공간지도란 도시군기본계획을 짤 때 탄소중립요소를 의무적으로 반영해야 하는 점을 감안, 건물·수송 부문의 탄소 배출량이나 흡수원을 시각화한 지도다.
국토교통부는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추진하는 기후 스마트 도시개발 지원사업의 수행기관으로 국내 기업인 선도소프트가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탄소공간지도는 우리 정부의 국토교통 연구개발 사업 성과로 개발했다. 선도소프트가 지도 시스템을 개발했다.
우리 탄소공간지도는 한국국토정보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전국 720만여 동의 건물별 에너지사용량과 도로구간별 교통량, 임상도를 기반으로 탄소배출과 흡수 정보를 1㎞, 500m, 100m 격자 단위로 매해 경신하고 있다. 지자체에서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탄소중립을 고려하는 걸 돕는다.
ADB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협력해 도시 탄소배출 분석, 도시기후행동계획 수립 등 통합적 기후대응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탄소공간지도를 주요 시범기술로 택했다. 앞으로 8개월간 현지 지자흐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우리나라 전라남북도를 합한 크기와 비슷한 지역으로 앞으로 우즈베키스탄 전역과 중앙아시아 인근 나라로 확산하는 걸 목표로 한다.
최병길 국토부 도시활력지원과장은 "우리나라의 탄소공간지도 구축 기술과 탄소중립 도시계획 기술이 국제기구를 통해 해외에 진출하는 첫 사례로 앞으로 관련 분야 협력을 더 확대하겠다"라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