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광주시 민간위탁, 수수료 제각각·계약서는 부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서임석 시의원 "전반 점검·기준 마련 필요"

서임석 광주시의원.

서임석 광주시의원.

AD
원본보기 아이콘

광주시의회 서임석 의원(더불어민주당·남구1)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24회계연도 결산심사에서 광주시의 민간 위탁 수수료 지급의 형평성 논란과 위·수탁 계약서 부실, 운영심의위 형식적 운영 등을 지적했다.


현재 광주시는 총 73개의 민간 위탁 사업 중 13개소(18%)에만 위탁수수료를 지급하고 있으나, 수수료율은 최저 0.91%에서 최고 7.93%까지 편차가 심하다. 특히 동일한 부서에서 운영하는 여러 민간 위탁 사업에서도 수수료율이 0.91~5.0%로 들쭉날쭉이다.

서 의원은 "수수료 산정의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사업마다, 부서마다 자의적 수치가 적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광주시는 관련 조례에 따라 계약서 작성 시 수수료 또는 비용을 반드시 명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13개 위탁기관 중 5곳(38%)의 계약서엔 수수료를 명시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일부 부서들은 수수료에 대한 관련 지침도, 계약서 내 수수료 조항도 전무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서 관리 부실도 도마 위에 올랐다. 어떤 계약서에는 같은 조항이 반복되는 이른바 '복붙(복사-붙여넣기)' 흔적이 발견돼 문서관리의 총체적 문제를 보여줬다.

지난해 민간 위탁 운영심의위원회는 총 9차례 열렸지만, 그 중 7회(78%)가 비대면 서면회의로 진행됐다. 회의 방식이 대면에서 서면으로 전환된 주요 원인은 과반 미출석으로 밝혀졌다.


서 의원은 "예산 100억원이 넘는 민간 위탁 시행계획을 다루는 중요한 회의마저 비대면으로 진행된 것은 책임 있는 심의가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며 운영심의위의 실효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지방회계법'에 따라 민간 수탁기관은 회계사무를 수행하는 경우 재정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하지만, 지난해 기준 광주시 제출자료를 보면 80건 중 9건은 보험 미가입 상태였다. 최초 제출자료 오류도 발견돼 담당 실과의 기본적 관리소홀도 함께 거론됐다.


서 의원은 "행정 효율성과 시민 세금이 낭비되지 않도록 민간 위탁제도 전반에 대한 강도 높은 점검과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며, 감사위원회의 감사를 공식 요청했다.


이에 대해 임태형 감사위원장은 의회 측에서 요청이 오면 준비하겠다고 답했으며, 고광완 행정부시장은 "시 차원의 기준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민간위탁 사업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답변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