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조 "소주산업도 지방소멸 시작, 수도권 일극체제 경고"
이게 주류회사의 광고 포스터가 맞아?
지역 소주 브랜드가 낯선(?) 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목소리보다는 울음에 가깝다. 지방 소멸이라는 사회적 위기를 소주의 '쓴맛'을 앞세워 부르짖고 있는 것이다.
부산에 본사가 있는 대선주조가 최근 기존 광고 이미지와 정반대의 파격적인 포스터를 공개했다. 아름다운 모델도 없다. 직설적인 문구로 지방 인구 감소와 소멸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담았다. 단순한 제품 홍보를 넘어 지역 기업마저 수도권 일극 체제의 부작용을 견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웅변하고 있다.
대선주조 측이 내세운 기획 의도를 보면 수도권 집중과 저출산·고령화는 지방경제의 뿌리까지 흔들고 있다. 소비 기반이 사라진 지역에서 기업과 소상공인은 생존 자체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인 셈이다.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본부의 월간 경기 전망 조사에 따르면 지역 기업의 체감 경기는 장기간 악화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도 2023년 보고서에서 청년 유출의 약 80%가 비수도권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수도권 인구 증가의 78.5%는 청년 유입 때문이었다.
지역 주류 산업의 위기감은 한층 더 절박하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국내 소매 시장에서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의 점유율은 80%에 육박한다. 유흥 시장을 포함하면 수도권 대기업의 독과점 수준은 90%에 달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대선주조(부산), 한라산(제주), 무학(창원), 보해양조(전남), 금복주(대구), 선양(대전) 등 지역 주류 기업들은 그간 지역민의 삶과 함께해 온 향토 브랜드이지만 중앙의 거대 자본에 밀려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현실이다.
광고선전비 격차는 실로 막대하다. 2024년 공시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연간 1840억원, 롯데칠성음료는 1265억원을 광고비로 지출했다. 일부 지역 주류사의 연 매출을 9배 이상 웃도는 규모다. 주정과 병, 뚜껑 등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물류비까지 부담되는 상황에서 지역 업체들은 가격을 올리지도 못한 채 버티고 있다.
인구 유출도 위기를 키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국내 인구이동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의 순유출 인구는 1만3657명으로, 3년 만에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수도권으로 빠져나간 인구도 비수도권 14개 시·도 중 부산이 가장 많았다.
대선주조처럼 오랜 시간 지역과 함께해 온 기업들은 지역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빠르게 변하는 소비 트렌드에 적응하고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지역 소주업계 관계자는 "지역민의 응원 덕분에 지금까지 버텨왔지만 지역 소멸이 가속화되면서 더는 버티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며 "주류 제조업체는 단순한 생산공장이 아니라 지역 사회의 일부다. 독과점에 대한 정책적 견제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수도권 집중은 단순한 경제 격차를 넘어 지역 공동체의 붕괴를 초래한다는 목소리는 예부터 있었다. 지역 문화와 정서를 담아온 향토 기업들이 무너지는 일은 단순한 사업 손실이 아니라 삶의 터전까지 사라지는 것이다.
대선주조 측은 "정부와 지자체는 생존의 갈림길에 선 지역 기업들을 위한 과감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바랐다. 또 "소비자도 지역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사랑으로 지방 경제에 숨을 불어넣어 달라"고 갈망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