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인사들 장관직 '발탁설만'
지역 안배 실종 우려의 목소리
전폭적 지지 불구 외면 '배신감'
과도기 상황…인선 속도 조절 중
국민추천제 통한 기용 가능성도
총리 인사청문회 후 추가 인선 전망
이재명 정부의 대통령실 및 초대 내각 명단에 광주·전남 출신 인사들이 단 한 명도 거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지역 내 반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6·3 대선' 당시 전폭적인 지지를 보냈던 지역 민심은 '배신감'을 토로하며 내각 인선 과정에서의 지역 안배 실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정가에서는 현역 국회의원과 대선 캠프에 합류했던 일부 인사들의 입각설이 나돌며 실명까지 거론됐었다.
정·관계에서는 신정훈 의원(전남 나주·화순)은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서삼석 의원(전남 영암·무안·신안)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안도걸 의원(광주 동남을)은 기획재정부 장관 등으로 각각 거론돼 왔다. 또 박균택 의원(광주 광산갑)은 법무부 장관에,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은 보건복지부 장관에 기용될 것이라는 '발탁설'이 나돌았다.
하지만 최근 대통령실이 본격적인 인선 작업에 착수한 이후 내각 명단에 이들의 이름이 더 이상 거명되지 않고 있다.
신정훈 의원의 경우 입각을 제안받았으나,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고려해 사실상 본인이 고사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8~10개월짜리 장관직에 대한 부담이 컸다는 분석이다. 서삼석 의원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제안설이 세간에는 나돌고 있으나 정치권에서는 아예 언급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문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선의 중심에 이 대통령이 예전에 근무했던 경기도와 성남시 라인이 주류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 안배보다는 '측근 중심' 인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일부에선 이 대통령이 지명한 총리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마무리되지 않은 과도기적 상황에서 본격적인 인사가 단행되기보다는 순차적으로 이뤄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지역 인사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전남지역 한 국회의원은 "현재는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조차도 마무리되지 않은 과도기적 상황"이라고 전제, "김민석 총리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마무리되면 추가 인사가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총리 후보자와 대통령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물밑에서 내각 인사 어레인지가 이뤄지고 있으며, 장·차관급 인선도 지금은 속도를 조절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오는 12일 인수위 격인 국정기획위원회가 열리고, 이후 각료 인선에 대한 가닥이 잡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주요 인선에 국민추천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힌 만큼 이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대통령실 조직 개편과 함께 국정운영 체제 정비가 선행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전·현직 고위공무원과 전문가 등 인물 발굴을 위한 추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핵심 보직의 경우 국민추천제를 통해 발탁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한 관계자는 "광주와 전남에서 전폭적인 지지를 보낸 만큼 이재명 대통령은 지역을 외면해선 안 된다"며 "그런데 지금까지 내각 인선에 따른 분위기를 들여다보면 지역 출신 인사들의 입각은 사실상 전멸이 아닌가 싶다. 유능한 지역 인사들이 다수 거론됐음에도 향후 최종 인사에서 배제된다면 지역민들이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현재 일부 인물에 대해 대통령실이 검증에 나서고 있다는 얘기는 들리는데, 아직까지 인선이 확정됐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듣지 못했다"며 "전폭적 지지에 상응하는 배려가 있어야 하며 총리 인사청문회 이후라도 반드시 지역 안배가 반영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