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실전재테크]환전부터 결제까지…여름철 휴가비 절약 노하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무료 환전·결제 수수료도 면제…트래블카드부터 신청
소액 환전에 해외 ATM기 찾기 번거롭다면
주거래은행 온라인 환전으로 환율 우대
여행 후 남은 자투리 동전은 포인트로 바꿀 수 있어

여름휴가 시즌이 다가오면서 해외여행 계획을 세우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나라를 정했다면 가장 먼저 고민되는 것이 제한된 예산에서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느냐다. 환전이나 해외 결제 등으로 나가는 수수료는 특히 아깝게 느껴진다. 원·달러 환율이 여전히 1300원 중후반대에 머물며 여행비 부담을 가중하는 가운데, '스마트'하게 소비하는 방법을 정리해 봤다.


대세가 된 '무료 환전' 트래블카드, 조건 꼼꼼히 따져야
[실전재테크]환전부터 결제까지…여름철 휴가비 절약 노하우
AD
원본보기 아이콘

해외여행에 특화된 체크카드인 '트래블카드' 인기는 여전히 뜨겁다. 국내 시중은행과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등 대부분의 은행이 잇따라 상품을 내놓고 경쟁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외여행을 준비하고 있다면 우선 이들 중 하나를 골라 미리 발급해 두는 것이 좋다.

트래블카드는 해외 현지 가맹점 등에서 결제하거나 자동화기기(ATM)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신용카드로도 현지 결제가 대부분 가능하고, 여기에 미리 현지 통화로 환전을 해간다면 해외여행에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트래블카드는 무료 환전과 해외 결제수수료 면제, 이에 더해 ATM 인출 수수료 면제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수수료 절약에 도움이 된다. 체크카드여서 연회비도 따로 없다.


다만 상품이 다양해지면서 나에게 맞는 조건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좋다. 외화로 바꿀 때 드는 환전 수수료는 대부분 무료로 제공되지만, 이를 원화로 다시 바꾸는 재환전 시에는 은행마다 차이가 있다. 현지에서 현금으로 인출할 때 드는 ATM 수수료도 면제해 주는 곳이 있는 반면, 횟수가 제한된 곳도 있다. 현지 가맹점 결제수수료 역시 마찬가지다. 한 예로 트래블카드 인기를 이끌었던 토스뱅크의 외화통장 연계 체크카드는 환전 및 재환전 수수료가 모두 무료다. 다만 현지에서 현금으로 인출할 때 드는 ATM 수수료는 월 5회까지만 무료로 제공한다.


무료 환전을 지원해 주는 통화의 종류에도 차이가 있다. 취급 통화 종류는 1년 새 크게 늘었다. 이 중에서도 하나은행의 '트래블로그'와 KB국민은행의 '트래블러스 체크카드'는 각각 58종, 56종의 통화를 지원해 가장 많다. 알려지지 않은 국가를 방문할 계획이라면 이들 카드가 유리할 수 있다. 충전 가능 한도금액도 카드별로 차이가 있다. 신한 쏠 트래블이나 우리은행의 '위비트래블 체크카드', NH농협은행의 'NH트래블리 체크카드'는 5만달러까지 보유가 가능하다. 반면 KB국민 트래블러스는 200만원, 하나 트래블로그는 300만원이다. 고액 쇼핑을 계획하고 있다면 카드별 충전 가능 한도 또는 잔액 부족 시 자동 환전 기능 등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

이 외에 공항라운지 이용과 호텔 예약 할인, 편의점 할인 등 부가서비스에도 차이가 있다. 신한 쏠 트래블카드는 상하반기 각 1회씩 무료로 공항 라운지(더 라운지)를 이용할 수 있다. NH 트래블리카드도 전월 실적이 30만원을 넘는다면 연 1회 라운지 이용이 가능하다. KB국민의 트래블러스는 아고다·호텔스닷컴 등 호텔 예약 시 최대 2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소액 환전에 현지 ATM 찾기 번거롭다면…주거래 모바일 환전 이용

트래블카드는 무료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현지서만 현금 인출이 가능하고, 현지 ATM 인출 수수료가 들 가능성도 있다. 출국 전 국내서 미리 외화 일부를 환전해 가고 싶다면 주거래 은행의 모바일환전 서비스는 여전히 유용한 방법이다.


대부분의 은행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환전할 경우 환전 수수료를 70~90%씩 깎아준다. 수수료를 10%만 내면 된다는 얘기다. 앱으로 환전을 신청한 다음, 공항 내 지점 등에서 직접 원화를 받으면 된다. 공항 환전소는 수수료가 가장 세다. 베트남 등 환전 수수료가 비싼 나라로 여행 계획을 세웠다면 이중 환전이 수수료가 더 저렴하게 든다. 국내에서 원화를 미국 달러로 바꾸고, 현지에 도착해 달러를 현지 통화로 바꾸면 된다. 대부분 현지 공항이나 호텔에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외여행 후 남은 자투리 외화 동전은 환전하기도 애매하다. 환전 자체를 제공하지 않거나 일부 지점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환전이 가능한 통화도 제한적이다. 남은 외화 동전을 그대로 가지고 있기 아깝다면 국내외 핀테크(금융+기술) 업체들이 제공하는 코인 환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동전환전소, 머니플렉스 등이 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