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노동자 참정권 보장
쿠팡, 14년 만에 로켓배송 잠깐 '스톱'
다음달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맞아 CJ대한통운, 롯데택배, 한진택배, 로젠택배, 우체국택배 등 국내 주요 택배사들이 일제히 휴무를 결정했다. 쿠팡도 처음으로 대선 당일 배송을 중단하며, 택배 노동자의 참정권 보장에 동참하기로 했다.
24일 택배업계에 따르면, 쿠팡은 전날 늦게 선거 당일 주간 배송을 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4년 '로켓배송'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앞서 쿠팡을 제외한 택배사들은 쿠팡이 휴무를 결정하면 함께 쉬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이번 조치는 선거일에도 근무해야 했던 택배 노동자들의 투표권을 보장하자는 취지다. 택배 노동자는 사측과 위임 또는 도급 형태의 계약을 맺어 근무하는 '특수고용노동자'로,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아 유급휴일을 보장받지 못했다. 그간 택배사들은 협의를 거쳐 선거일을 휴일로 지정해왔다.
그러나 최근 택배업계의 주7일 배송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올해 대선이 코앞으로 다가올 때까지 휴무 시행을 결정하지 않아 논란이 됐다.
이에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은 22일 "쿠팡 때문에 다른 택배사들도 주 7일 배송을 시작했으며 너도나도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6월 3일 근무일로 지정하고 있는 실정"이며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을 '택배 없는 날'로 지정하라"고 촉구했다.
국회에서도 지원 사격에 나섰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택배 노동자의 투표권을 보장하기 위해 선거 날을 휴무일로 지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택배업체 등에서 대선일에 대한 휴무일 지정과 같은 조치가 없다면 택배 노동자 등은 사실상 이번 대선에 참여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참정권 행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이들을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결국 쿠팡까지 휴무에 동참하면서,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는 국내 대부분의 택배 배송이 멈추게 됐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