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범죄, 무역전쟁 우려…비용은 매력적"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인 부유층을 대상으로 내놓은 미국 영주권 발급 제도 '골드카드'가 중국 부자들 사이에서는 시큰둥한 반응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격화하는 미·중 갈등과 세금, 범죄 등에 대한 우려를 사고 있는 탓이다.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3일(현지시간) 500만달러(약 70억원) 투자에 영주권을 즉시 발급해주는 '골드카드' 제도에 대해 중국인 부자들이 별다른 호응을 보이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중국 부자 입장에서 골드카드는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에 중국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수단이지만, 중국 부호들은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매체는 가장 큰 원인이 미중 갈등으로 인해 미국 내에서 중국인에 대한 반감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남부 광저우에서 거주하는 부동산개발업자 캔디스 멍은 SCMP에 "싱가포르나 뉴질랜드와 비교하면 골드카드의 비용은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약 191억원, 뉴질랜드는 115억원의 투자 이민 제도를 운영 중이다. 그러나 멍은 "미·중 무역전쟁 상황, 또 미국 도시들의 범죄율을 생각하면 미국이 살기 좋은 곳처럼 느껴지지 않는다"며 "(골드카드를) 신청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부호들은 세금 문제에 대해서도 걱정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선 과세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나, 언제 바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외 여러 나라에서 소득을 올리는 부호들 입장에서는 잠재적인 골칫거리인 셈이다.
중국 베이징에 본적을 둔 이민 상담 업체 '웰트렌드' 소속 잭 징 매니저는 "골드카드에 대한 문의는 있지만, 고객들은 신중한 모습을 보인다"며 "다만 아이비리그 의대 진학을 목표로 하는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확실한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의대는 시민권자, 영주권자만 지원할 수 있는 경우가 대다수인 탓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부유층을 더욱 효율적으로 유치할 방안으로 지난 2월 골드카드를 발표했다. 골드카드는 기존 투자이민 제도인 EB-5를 대체할 예정이다. 지난해 기준 EB-5 제도 신청자의 약 70%는 중국인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