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국 태양광 성장 속도, G7보다 빠르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국 태양광 설비용량 36.77GW
2017년과 비교하면 626.6% 늘어
태양광 시장 연평균성장률 26.4%
미국, 이탈리아, 일본보다 가팔라

전남 영광군 염산면 월평읍 농경지에 설치된 영농형태 태양광 발전소.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강진형 기자

전남 영광군 염산면 월평읍 농경지에 설치된 영농형태 태양광 발전소.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강진형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의 태양광 보급 속도가 주요 선진국들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영국의 글로벌 싱크탱크 '엠버'가 제공하는 전 세계 태양광 보급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한국의 태양광 설비용량은 36.77기가와트(GW)로 집계됐다. 지난해 4월 32.32GW에서 1년 만에 13.7% 급증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7년 12월 5.06GW와 비교하면 626.6% 불어났다.

한국의 태양광 보급 속도는 G7(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캐나다) 국가보다 빠르다. 시장의 성장세를 보여주는 태양광 CAGR(연평균복합성장률)은 한국이 26.45%로 나타났다. 미국(26.09%)보다 크고 이탈리아(14.09%)와는 2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일본(11.45%), 독일(11.20%), 프랑스(10.94%), 영국(6.54%) 등과도 큰 차이를 보였다.


태양광 설비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문재인 정부에 본격화됐다. 2018년만 해도 태양광 설비용량은 한 달에 평균 0.17GW씩 늘어났다. 태양광 보급이 전혀 늘어나지 않는 날도 수두룩했다. 하지만 탈(脫)원전·친환경 에너지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2019년 설비용량이 매달 0.28GW씩 증가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6월에는 한 달 만에 태양광 보급용량이 0.88GW 급증하기도 했다.


전력기본계획 실무안에 담긴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기조로 한국의 태양광은 점차 더 확대될 전망이다. 윤석열 정부는 10차 전기본을 내면서 2030년 태양광·풍력 설비보급 목표치를 65.8GW에서 72GW로 상향했다. 10차 전기본이 적용되는 마지막 해인 2036년에는 99.8GW까지 확대해야 한다. 지난 2월 확정된 11차 전기본에서는 목표치를 더 높여 2038년까지 태양광·풍력 설비를 115.5GW 확충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다만 통계가 제공되는 25개국 전체로 보면 한국의 CAGR은 13위로 중위권에 머물렀다. 1위는 115.7%의 CAGR을 기록한 브라질이었고 폴란드(78.9%)가 뒤를 이었다. 아르헨티나(77.0%)와 네덜란드(61.9%)도 높은 CAGR을 기록했다. 태양광 설비용량은 1135.58GW를 보급한 중국이 가장 많았다. 미국의 설비용량은 237.04GW로 중국과 5배가량의 차이를 보였다. 이후 인도(137.3GW), 독일(103.92GW), 일본(91.79GW) 순이었다.


또 한국의 태양광 보급량은 빠르게 느는 추세지만 절대적인 태양광 발전 비중은 여전히 적은 편이다. 엠버는 "한국의 가장 큰 전력원은 원자력(30%)"이라면서 "풍력과 태양광 발전 비중(6%)은 세계 평균(15%)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