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들~현충로 최대 1km 지하화
현충로 구간은 덮개공원까지
사업성 등 논의해 최종 결정
공공성 문제로 타 사업지 난항
서울시가 반포와 압구정 등에 이어 동작구 한강변에 덮개공원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대 도로를 지하화해 한강 접근성을 높이고 교통 체증을 해결하겠다는 취지인데, 공공성과 사업성을 어떻게 끌어올릴 것인가가 관건이다. 한강 덮개공원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인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일환이다.
2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최근 동작구 노들로와 현충로 일대를 지하화하고 덮개공원을 덮는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에 착수, 한 설계업체와 계약을 체결했다.
대상지는 한강대교 남단 일대, 노들섬 건너편인 노들로와 현충로 구간이다. 올림픽대로와 평행으로 이어진 도로로 노들고가차도와 흑석역 사이에 위치했다. 서울시가 지하화를 논의하고 있는 곳은 노들고가를 포함한 최소 300m에서 최대 1km 구간이다. 한강대교를 지나 본동에 자리 잡고 있는 용양봉저정공원을 끼고 있는 구간은 지하화와 상층부 덮개공원을 함께 계획하고 있다.
해당 자치구와 서울시는 동작구 수변공간의 활용성이 높지 않아 덮개공원 설치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강과 맞닿아 있으나 도로나 경사지형으로 접근성이 열악해서다. 이 구간을 지하화하고 덮개공원을 지은 뒤 용양봉저정공원과 한강 수변을 입체적으로 연결하겠다는 목표다.
덮개공원은 오 시장이 추진 중인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시민들의 한강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한강변을 따라 시민 친화적 공간을 대거 조성하는 게 골자다.
사업성 문제는 기부채납 방식으로 해결 중이다. 서울시는 한강변 재건축 단지에 기부채납 시설로 덮개공원 설치를 제안해왔다. 현재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와 압구정3구역 등에서 덮개공원 설치가 논의되고 있다.
현충로 덮개공원은 다른 사업과는 차이가 있다. 기존 사업지들이 올림픽대로나 강변북로를 지하화하는 대규모 공사인 반면 현충로 지하화는 올림픽대로와의 추가 연계는 세부적으로 다루지 않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서울시는 이번 타당성 조사를 통해 교통영향분석이나 구조물 설계는 물론 경제성이나 공공성 등을 다양하게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비사업 내 기부채납 방식이 아니라면 공사비 역시 고스란히 부담해야 해서다. 공공성 부문도 고민이 필요하다. 한강과 직접 맞닿은 사업 방식은 아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덮개공원 설치 후 한강변과 연계 사업이 논의될 수 있어서다.
실제 서울시가 추진하는 덮개공원에 대해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은 '공공성 부족'을 이유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 덮개공원의 주 수혜자가 아파트 단지 주민으로, 공공성이 없다는 판단이다. 이에 한 사업지에서는 정비사업 지연은 물론 설계비로 들어간 110억원 등 금융피해까지 호소하고 있다.
다만 최근 서울시는 덮개공원을 개별 사업장 프로젝트가 아닌 한강변 전체 개발방식으로 접근해 해결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는 공공성 확대 방안은 물론 홍수 예방 등 환경적 영향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한강변 활용이나 시민 접근을 높이겠다는 (서울시의) 정책 방향에 따라 자치구나 주민들은 덮개공원과 같은 구조물 설치에 많은 관심을 보일 것"이라며 "사업성과 공공성을 모두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에 대한 사전 논의가 우선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