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과 스마트안경 협업 확장…영화 제작 AI도 선보여
세계 최대 검색 엔진 업체 구글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도전에 맞서 자사 검색 서비스에 AI 기능을 전면 도입하며 반격에 나섰다.
구글은 20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 회의(I/O)를 열고 생성형 AI를 대거 접목한 새로운 검색 기능 등을 발표했다.
구글은 검색 내용을 AI가 요약해주는 방식의 'AI 오버뷰'를 'AI 모드(AI Mode)'로 변경해 기능을 대폭 확대했다. AI 모드는 구글의 최신 AI 모델인 제미나이 2.5를 도입한 검색 기능이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기조연설을 통해 "AI 모드는 검색과 분석·요약·결과 제공까지 AI가 처리해 주는 '엔드-투-엔드' 경험을 원하는 사용자를 위한 새로운 기능"이라며 "정보에서 지능으로 나아가는 검색의 미래"라고 밝혔다.
'AI 모드'는 텍스트 요약과 이미지 분석, 영상 이해 등 기존 텍스트 입력 외에 음성과 영상 등의 멀티모달 기능이 결합됐다. 이용자는 검색어 입력뿐만 아니라 문장 입력과 후속 질문 등을 통해 AI 챗봇과 대화하듯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의 실시간 검색 기능인 '서치 라이브'도 통합돼 이용자가 작업 중 궁금한 내용을 카메라로 보여주면 AI가 적절한 정보를 즉시 제공하거나 음성으로 설명해준다.
일반적인 키워드 기반 검색을 넘어 AI가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하고, 방대한 정보를 자율적으로 탐색해 종합적인 보고서나 심층 답변을 제공하는 '딥 서치' 기능도 접목됐다.
또 지난해 공개한 '프로젝트 마리너'라는 에이전트 기능도 겸비해 티켓 예매와 레스토랑 예약, 서비스 신청 등 일련의 과정을 AI가 처리한다.
AI 모드는 이날부터 미국 내 모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다른 국가로도 확대된다. 다만 다른 국가로 확대되는 구체적인 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삼성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확장현실(XR) 헤드셋을 개발해 오고 있는 구글은 삼성과 스마트 안경 개발에도 나선다. 구글은 삼성전자 및 한국 선글라스 업체 젠틀몬스터 등과 함께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XR을 접목한 스마트 안경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구글이 스마트 안경 개발에 나서는 것은 2013년 '구글 글라스'라는 스마트 안경을 선보였다가 2년 뒤 단종한 지 10년 만이다. 이 스마트 안경은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가 장착되고 휴대전화와 함께 연동돼 주머니에 손을 댈 필요 없이 전화를 받거나 문자를 보내고 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제미나이 라이브' 기능이 탑재돼 이용자가 보고 듣는 것을 AI가 카메라로 인식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중요한 사안을 상기시킨다. 제미나이 라이브는 이날부터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에서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스마트 안경에는 실시간 번역 기능도 탑재돼 언어가 다른 두 사람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기능도 접목될 예정이라고 구글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구글은 기존 동영상 생성 AI 모델인 '비오2'에 오디오를 더한 '비오3'도 선보이고 선명도를 극대화한 이미지 생성 AI 최신 모델 '이마젠4'도 공개했다. 아울러 비오와 이마젠, 제미나이를 통합해 영화 같은 장면과 스토리를 만들 수 있는 AI 영화 제작 도구인 '플로(Flow)'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