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국채 줄이는 중국…3월 日·英 이어 세계 3위로 하락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美국채 줄이는 중국…3월 日·英 이어 세계 3위로 하락
AD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이 미국 국채 보유량을 지속적으로 축소해온 가운데 올해 3월에는 보유 순위가 일본과 영국에 이어 세계 3위로 내려앉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연합뉴스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 자료를 인용한 결과 3월 기준 외국인의 미 국채 보유 규모가 3개월 연속 증가해 사상 최고치인 9조500억달러(약 1경2680조원)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중국의 보유액은 7654억달러(약 1072조원)로, 전월보다 189억달러(약 26조원) 감소하며 두 달간 이어진 증가세에서 하락세로 전환됐다.


이로 인해 중국은 미국 국채 보유국 순위에서 3위로 밀려났고, 영국은 같은 기간 보유량을 290억달러(약 40조원) 늘려 총 7793억달러(약 1092조원)로 2위에 올랐다. 일본은 1조1300억달러(약 1583조원)의 국채를 보유하며 3월에도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은 2013년 11월 1조3160억달러(약 1844조원)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를 보여왔다.

2017년 말에는 1조1840억달러(약 1659조원), 2018년 말에는 1조1240억달러(약 1575조원)로 줄었고, 이후 2022년 말 8670억달러(약 1127조원), 2023년 말 8160억 달러(약 1143조원)를 기록하며 감소 추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말에는 7590억달러(약 1063조원)까지 떨어졌다.


이 같은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 축소가 미중 무역 전쟁 국면에서 협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와 맞물려 있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 이후 국채 시장의 불안정이 심화되자 그 배경에 중국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위융딩 중국 사회과학원 학부위원이자 전 중국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은 지난 15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리스크가 커진 상황에서 미국 달러 자산, 특히 국채를 보유한 외국 투자자들은 미국의 채무불이행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은 해외 자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상정한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