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젊은의사 포럼 개최…전공의·의대생 약 1000명 참여
"2021∼2023년 3개년 동안 현역 입대 전체 수치와 맞먹어"
올해 3월 한달간 현역병으로 입대한 의대생이 역대 최다인 412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쪽부터)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11회 젊은의사포럼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이성환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공보의협) 회장은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젊은의사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회장은 "지난해부터 올해 2월까지 약 1900명의 학생이 현역으로 입대했다는 소식을 알린 게 엊그제 같은데 불과 이틀 전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얻은 3월 자료에는 (월간) 역대 최대인 412명이 현역병으로 입대한 것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3월 한 달간 현역 입대 인원은 2021∼2023년 3개년 동안 현역으로 입대한 전체 수치와 맞먹는 수준"이라며 "37개월 복무해야 하는 공보의 대신 18개월 현역병을 택한 것은 초등학생도 이해할 정도의 합리적 선택"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의대생들의 현역병 입대 문화가 확산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회장은 "올해 4700명의 의대생이 추가로 (현역) 입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그렇기에 머지않아 우리 협회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가능성이 크지만, 직무 연관성이 큰 공보의 제도의 존속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개회사를 통해 "대통령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의료계의 위기는 대중의 관심 밖으로 밀렸고, 정치권은 표를 좇고 있지만 필수의료와 의학교육은 지금도 급격히 무너져 내리고 있다"며 "이 사태가 더 길어지면 의료 체계는 되돌리기 어려울 정도로 훼손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 정당과 대선 후보들께서는 지난 1년3개월의 의료 공백을 통해 대한민국의 의료 현실을 직시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해법을 제시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은 축사에서 "의협은 국민 건강과 의료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각 대선 후보와 활발히 소통하고 있다"며 "일방적으로 추진된 의대 정원과 필수의료 패키지 같은 잘못된 정책이 반복되지 않도록 각 후보 캠프를 설득하겠다"고 했다.
이날 대선 후보 가운데 유일하게 포럼에 참여한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의료와 관련해 여러 대안을 얘기한 인물이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데 더해 본인이 속했던 정당과도 단절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윤석열은 갔지만 그가 싸놓은 무언가는 우리를 장기적으로 괴롭히게 될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자기 동생 역시 의사임을 언급하며 "의대 증원에 절대 반대하고, 증원하면 안 된다고 굳게 생각한다"면서 핵심의료 수가(의료행위 대가) 현실화, 지역 차등 수가 도입, 공공병원 구조 개혁 등으로 의료 현실을 개선하겠다고 공언했다.
한편 이날 포럼은 대전협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공보의협의 공동주최로 열렸다. 주최 측에 따르면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공의와 의대생 등은 약 1000명에 달한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격무 시달리다 쿠팡 가는 공무원… 기재부 팀장도 이직](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62511170321293_175081782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