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조선 재건, 韓이 돕겠다"…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그리어 대표와 회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HD현대, 미국 무역대표부 만나 협력 논의
항만 크레인 협업 등 조선 파트너십 제안
"필요한 역할 있다면 기꺼이 참여할 것"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방한 중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한미 간 조선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국내 조선업계 인사가 USTR 대표와 공식 회담을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D현대에 따르면 정 수석부회장은 16일 오전 그리어 대표와 제주도 모처에서 만나 양국 간 조선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그리어 대표는 전날부터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방한했다. 이날 회담에서 정 수석부회장은 HD현대중공업과 미국 방산 조선사 '헌팅턴 잉걸스(HII)' 간 협력 사례를 언급하며 ▲공동 기술개발 ▲선박 건조 협력 ▲기술 인력 양성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제안했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오른쪽)이 16일 제주도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한미 조선 산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HD현대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오른쪽)이 16일 제주도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한미 조선 산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HD현대

AD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미국 내 중국산 항만 크레인의 독점 공급 문제를 지적하며, HD현대삼호의 크레인 제조 역량을 소개하고 미국과의 공급망 협력 강화 제안했다. 정기선 수석부회장은 "HD현대는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 의지와 노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며 "이를 위한 모든 준비가 된 만큼 필요한 역할이 있다면 기꺼이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어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당시 USTR 대표의 비서실장을 지내며 미·중 간 공정 무역 협상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는 같은날(16일)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도 비공개 일정으로 만날 예정이다. 한화그룹의 김동관 부회장과의 면담도 거론되지만 성사될 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국내 빅3이자 특수선 양강업체로 꼽히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대표들은 그리어 대표와 상선 및 군함 건조와 보수·수리·정비(MRO)를 포함한 한미 조선업 협력 방안을 비공개 석상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협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HD현대는 지난달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 헌팅턴 잉걸스와 '선박 생산성 향상 및 첨단 조선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최근 열린 해양항공우주 전시회에서는 미국 ABS 선급과 미 해군용 경량 군수지원함 설계 인증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미국 방산 기자재 업체 페어뱅크스 모스 디펜스와 현지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에도 합의했다. HD현대 함정기술연구소는 미 해군연구소와 차세대 함정 설계 및 공동 연구개발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등 미국 방산 시장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지난해 8월 국내 조선소 최초로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호 MRO 사업을 수주한 한화오션은 같은해 12월 한국 기업 최초로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 외 추가 투자, 해양 인력 육성 협력 방안, 신규 선박 건조 일정 등을 제안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국 간 조선 분야 협력 필요성이 커지면서 지난달 30일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은 미국 장관급 인사로는 처음으로 방한해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진행된 통상장관회의에는 ABAC 의장 자격으로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조 부회장은 급변하는 글로벌 무역 및 금융환경에 대한 APEC 기업인 자문위원회(ABAC) 권고사항을 각국 통상장관들에게 공유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자유롭고 개방적인 무역의 유지를 역설하면서 글로벌 통상시스템의 안정, 예측 가능성, 비차별성을 핵심으로 하는 세계무역기구(WTO) 원칙을 지지해 줄 것을 각국 통상장관들에게 권장했다. 이밖에 역내 무역 및 비즈니스 활동 지원을 위해 APEC 기업인 이동카드 (ABTC) 시스템 개선, 무역의 디지털화를 지원하기 위해 종이없는 무역을 위한 APEC 우수센터 설립 등 ABAC 각 워크그룹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어젠다에 대해 지원을 촉구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