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기자수첩]'런웨이' 공항 출국장, 안전은 뒷전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K스타 출국길 전쟁 '안전 사각지대'
공항·기획사·정부·팬 협의 체계 필요

[기자수첩]'런웨이' 공항 출국장, 안전은 뒷전
AD
원본보기 아이콘

K팝 아이돌이 걷는 짧은 구간. 그 뒤에 고가의 장비와 협찬이 따라붙는다. 인파는 몰려들지만, 안전을 책임지는 이는 누군지 불분명하다. 언제부턴가 공항 출국장은 수익을 좇는 '욕망의 무대'로 변질됐다.


스타를 중심으로 국내외 패션 브랜드와 홈마(팬사이트 운영자)가 유기적으로 얽혀 움직인다. 협찬 제품을 입은 스타가 출국장에 등장하면, 홈마는 이를 촬영해 굿즈로 만들고, 해당 제품은 '공항 패션' 콘텐츠로 소비되며 곧 품절된다. 통로는 막히고 소란이 커지는 동안 이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을 거둔다. 혼잡한 현장을 감당하는 건 일반 팬과 시민들의 몫이다.

이같은 현상을 적극적인 팬 문화의 일부로 수용하자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순수한 팬심으로만 설명할 수 있는 단계를 이미 훌쩍 넘어섰다. 일부 홈마는 스타의 일정을 미리 확보해 정보를 거래하고, 항공권을 구매·환불하며 면세 구역까지 카메라를 들이댄다. 이들을 '팬'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긴 어렵다.


세계가 환호하는 K컬처의 화려한 무대 뒤에는 이윤 창출에 가려진 구조적 문제가 존재한다. 해외 주요 공항은 이미 스타의 이동을 보안 이슈로 간주하고, 동선 분리와 인원 밀도 통제, 사전 조율 시스템을 제도화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관행에 기대며, 사후 조치에만 머물러 있다. 지금처럼 허술한 상태라면, 'K컬처'의 이미지는 사소한 사고 하나로도 무너질 수 있다. 당장 필요한 것은 혹시 모를 사고를 막기 위한 일회성 조치가 아니다. 정부, 공항, 연예 기획사, 팬덤 대표가 참여하는 실무 협의체를 만들고, 출국 일정의 사전 공유와 동선 분리 기준을 매뉴얼로 마련해야 한다. 팬 대기 구역 설정, 혼잡도 감지 시스템 도입, 사설 경호원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도 필요하다.

질서와 안전을 제도화해야 K컬처의 품격과 국제적 신뢰도 더 높아질 것이다.


오늘도 몰려드는 군중을 방치한 채, 대형 사고의 위험을 '문화'라는 말로 덮어두고 있는 것은 아닌지. 문화는 이제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이 되었다. 지속 가능한 안전한 경영은 문화 산업도 예외일 수 없다.





이이슬 기자 ssmoly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