⑨美 소비자들, 경기 악화에 과자 소비 줄여
반면 100년 전 대공황 시절은 과자 부흥기
지금은 열량만 높은 해로운 간식 취급이지만
먹을 게 귀하던 시절엔 빈자 살린 혁신 제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후 관세 전쟁을 시작하면서 미국에서는 과자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과자 침체(Snack recession)'라는 신조어까지 나올 정도다.
과자는 한 세기 전 대공황 때에도 굶주린 서민들의 구원투수 역할을 하며 소비가 잘 되던 품목이었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 국가 간 무역을 더 위축시켰던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2025년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경기불황이라는 비슷한 경제 상황을 만들고 있지만, 과자 산업에서는 희비가 극명히 갈린 셈이다.
"생필품 빼고 다 줄인다" 초유의 과자 침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시작하면서 수입품 가격이 오를 것을 우려한 소비자들이 먼저 줄인 것은 과자 등 간식류다. 시리얼 기업 제너럴 밀스, 음료 및 과자 제조사 펩시, 통조림 수프로 유명한 캠벨 모두 일제히 1분기 판매량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NIQ가 최근 미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2%가 "물가 상승으로 간식 구매를 줄였다"고 답했다.
통상 과자는 다른 식품보다 저렴하면서도 강렬한 맛을 주기 때문에, 불황일수록 더 많이 찾는 '위안의 음식(Comfort food)'로 취급됐지만, 지금은 가장 먼저 소비를 줄이는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유용한 영양소 없이 그저 열량만 높다는 간식에 대한 이미지 때문에 소비 우선순위에서 필수 식료품에 밀린 것이다.
CNN, CNBC 등 미 언론에서는 이 현상을 "과자 침체"라고 부르고 있다. 미 NBC 지역 방송인 WKYC 채널3에서도 "미국인들이 사소한 사치조차 감당할 수 없게 됐다는 신호"라며 "장바구니에서 달고 짠 간식을 덜어내고 필수 식료품을 선택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지금은 간식이지만…대공황 땐 달랐던 과자 위상
소비자들이 과자 소비를 줄이고 있는 것은 미국이 최대 경제 위기를 겪었던 100년 전 대공황 때와 180도 달라진 모습니다. 당시 미국 내 대부분의 산업이 대공황 타격을 입었지만 과자를 비롯한 가공식품 제조업이 성장의 발판이 됐다.
대공황 당시 미국의 빈곤률은 약 68%에 달했을 정도로 미국인 10명 중 7명은 끼니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이 때문에 배고픈 미국인들은 질 낮은 식자재를 긁어모아 어떻게든 음식을 만들었고, 당시의 식사는 이른바 '대공황 요리'로 지금까지 기억되고 있다. 대공황 요리의 가장 큰 특징은 과자, 디저트 등 가공식품을 일반 식자재와 섞어 열량을 부풀리는데 있다.
대공황 시기 저렴하게 구할 수 있었던 감자에 노란 색소를 주입해 버터 같은 모양을 만들고, 표면에 설탕과 코코아 가루를 발라 고급 초콜릿 디저트를 흉내 낸 '감자 사탕'이 대표적인 대공황 요리로 꼽힌다. 파이 생지 안에 비스킷, 크래커 등 딱딱한 과자 부스러기를 넣어 내용물을 부풀린 '절망의 파이'와 미국의 국민 옥수수칩 과자 프리토스도 1930년대 큰 인기를 얻었던 음식들이다. 버터, 육류, 우유 등 신선 식자재를 구하지 못하는 가정이 대다수였던 당시 과자는 그저 간식이 아니라, 저렴한 가격에 높은 열량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식자재였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