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 테러대응 TF 소속 부승찬 의원
"특수부대 OB 위주 활동 제보 들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테러 대응 태스크포스(TF) 소속인 부승찬 의원이 "(암살·테러 관련) 제보의 신빙성, 구체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부 의원은 15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한 자리에서 "이성적으로는 설마 (테러 시도가) 있겠냐는 생각이 강하지만 예방적 차원에서 대응하자는 것"이라면서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고, 경찰 경호에만 의존할 수만은 없어서 테러대응 TF를 구성하게 됐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어 "테러 시도 자체가 팩트체크 가능한 영역은 아니지만 국정원발로도 여러 정보가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앞서 민주당은 이 후보를 노리고 전문 저격 소총이 밀반입됐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부 의원은 "사정거리가 2~3㎞에 달하는 러시아제 저격 소총"이라며 "(대선 후보는) 대통령 같은 갑호경호가 아닌 근접 중심의 을호경호를 담당하고 있어 원거리 경호가 어렵다. 방탄유리 설치 등 조처가 논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대기 중이라는 의혹이 일었던 'HID 특수부대' 요원들이 관련된 게 아니냐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특수부대 훈련 상황, 총기 불출 상황 등을 일일 체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HID는 국군 정보사령부(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의 준말로, HID 소속 특수부대는 북파 공작·요인 암살 등 임무에 특화된 극비 요원으로 알려졌다. 군 출신인 부 의원도 현역 시절 HID 공작팀장을 역임했는데, 그는 계엄 사태 당시 국회 국방위원회 회의에서 HID 요원 개입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부 의원은 "저격수는 특수부대 내에서도 극소수로, 현재 특수부대는 전부 복귀한 걸로 보인다. 다만 OB(전역자)들 위주의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경호에 임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2㎞ 저격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보다는, 과거 아베 신조 일본 전 총리 피살 사건 사례와 같은 근거리 테러에 대해서도 우려한다"며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고 있고, 가능한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