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정현 "尹, 공적인 기준 있는 사람…탈당 여부 곧 정리할 것"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윤 전 대통령 탈당 여부 두고 정치권 촉각
이정현 "선거는 정당의 존립 걸린 문제"
"尹, 결정 안 미룰 것", "洪, 침묵해야"

6.3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 여부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린 가운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측에서 "아주 가까운 시일 내 윤 전 대통령 본인이 정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4일 이정현 공동선대위원장은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 인터뷰에서 "개인적인 의견"이라며 "정당의 존립이 걸려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을 막론하고 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거나 크게 부담을 준다고 하면 본인이 결단을 내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현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 아시아경제 자료사진

이정현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 아시아경제 자료사진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 선대위원장은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조직에 대한 도리"라며 "윤 전 대통령은 본인보다 공적인 것에 기준을 두기 때문에, 본인의 문제가 대선의 쟁점이 된다고 하면 더 이상 (결정을) 미루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김 후보는 경남 사천의 우주항공청을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의 탈당 여부를) 제가 듣지 못했다"며 "잘 판단하실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판단을 존중하는 것이 옳다"라고 말한 바 있다.

진행자가 '반이재명 빅텐트' 전략에 대해 묻자, 이 선대위원장은 "반명 빅텐트는 예쁜 이름이 아니다"라며 "누구 한 사람을 상대로 그 사람을 배척한다는 것은 (좋지 않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내건 '개헌 연대' 같은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가 집권한다고 했을 때 우려가 사람들이 비록 당이 다르고, 이견이 있더라도 큰 틀에서 국가와 국민의 안정을 위해 뭉치자고 한다면 결국 '반명 연대' 성격이 된다"며 "이낙연, 손학규 같은 분들도 그런 부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김 후보가 개헌에 반대한 적은 없지만 더 강조했으면 좋겠다"며 "승자 독식 대통령은 지금까지 정치권, 예산권, 인사권, 사정권, 정보권, 당권, 심지어는 국가의 여러 가지 (합법적) 폭력권까지 자기한테 주어진 큰 칼이라도 된 것처럼 해왔다"며 "이런 헌법 가지고는 다른 어떤 정치 개혁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건 '벅레 먹은 이파리 먹겠다'는 것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4일 경남 밀양시 밀양관아 앞에서 유세하기 위해 차에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4일 경남 밀양시 밀양관아 앞에서 유세하기 위해 차에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선거 분위기에 대해서는 "쉽지 않은 분위기"라며 "상대 후보는 지금 세 번째 대통령 출마한다. 그런데 김 후보는 출마한 지 3일 됐다"고 답했다. 또 "후보로 확정된 지 3일 된 사람과 7, 8년 전부터 끊임없이 후보로 출마한 사람과 붙게 되니 초반에 김 후보가 다소 열세인 것은 분명하고 쉽지 않은 대선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또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지지자들이 이 후보 측에 지지 선언을 한 것을 두고는 "영향력이 거의 없을 것"이라며 "언급하고 싶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홍 전 시장은) 정치권의 대선배이고 지금은 원로가 됐다"며 "후배 정치인들은 원로 정치인들을 보고 배운다. 큰 정치인들은 말씀을 많이 하는 것보다 침묵이 훨씬 더 큰 교훈을 줄 수 있고 많은 존경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침묵을 택하면 어떨까 한다"고 덧붙였다.


홍 전 시장은 이날 지지자들과의 소통 채널인 '청년의 꿈'에서 "두 번 탄핵당한 당과는 절연하지 않을 수 없다"며 "비열한 집단에서 다시 오라고 하지만 이젠 정나미 떨어져 근처에도 가기 싫다"고 밝혔다. 이어 "한 번은 내가 일으켜 세웠지만 두 번째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어서 그 당을 나왔다"며 "탈당만 하면 비난할 터이니 정계 은퇴까지 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내 나이 70에 감정적으로 접근할 리 있나"라며 "도저히 고쳐 쓸 수 없는 집단이기에 나왔다"고 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